# preparing.xml Korean translation # # Seok-moon Jang , 2005. # Lee Kyung Soon , 2011. # Changwoo Ryu , 2005-2008, 2012-2015, 2017-2023. # # 이 번역은 완성 단계로 품질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반드시 # debian-l10n-korean 메일링 리스트에 번역 사실을 알리고 토의를 하십시오. # msgid "" msgstr "" "Project-Id-Version: preparing.xml\n" "Report-Msgid-Bugs-To: debian-boot@lists.debian.org\n" "POT-Creation-Date: 2023-08-08 23:04+0000\n" "PO-Revision-Date: 2023-05-04 21:26+0900\n" "Last-Translator: Changwoo Ryu \n" "Language-Team: Korean \n" "Language: ko\n" "MIME-Version: 1.0\n" "Content-Type: text/plain; charset=UTF-8\n" "Content-Transfer-Encoding: 8bit\n" # &debian-gnu; => 데비안 GNU/리눅스, 조사 사용 주의 #. Tag: title #: preparing.xml:5 #, no-c-format msgid "Before Installing &debian-gnu;" msgstr "&debian-gnu;를 설치하기 전에" #. Tag: para #: preparing.xml:6 #, no-c-format msgid "" "This chapter deals with the preparation for installing &debian; before you " "even boot the installer. This includes backing up your data, gathering " "information about your hardware, and locating any necessary information." msgstr "" "이 장에서는 설치 프로그램을 부팅하기 전에, &debian; 설치 준비 사항에 대해 다" "룹니다. 여기에서는 데이터 백업,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 모으기, 기타 필요한 정" "보 찾기와 같은 것을 포함합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9 #, no-c-format msgid "Overview of the Installation Process" msgstr "설치 과정 개요" #. Tag: para #: preparing.xml:20 #, no-c-format msgid "" "First, just a note about re-installations. With &debian;, a circumstance " "that will require a complete re-installation of your system is very rare; " "perhaps mechanical failure of the hard disk would be the most common case." msgstr "" "먼저 시스템을 다시 설치하는 것에 대해 설명합니다. &debian;에서 시스템 전체를 " "다시 설치해야 할 상황은 아주 드뭅니다. 다시 설치해야 하는 경우는 하드 디스크" "의 기계적인 고장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27 #, no-c-format msgid "" "Many common operating systems may require a complete installation to be " "performed when critical failures take place or for upgrades to new OS " "versions. Even if a completely new installation isn't required, often the " "programs you use must be re-installed to operate properly in the new OS." msgstr "" "흔히 사용하는 많은 운영 체제에서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새로운 운영 " "체제의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려는 경우 완전히 새로 설치해야 합니다. 처음부터 " "완전히 새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고 해도, 프로그램이 새로운 운영 체제에서 제대" "로 동작하려면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35 #, no-c-format msgid "" "Under &debian-gnu;, it is much more likely that your OS can be repaired " "rather than replaced if things go wrong. Upgrades never require a wholesale " "installation; you can always upgrade in-place. And the programs are almost " "always compatible with successive OS releases. If a new program version " "requires newer supporting software, the &debian; packaging system ensures " "that all the necessary software is automatically identified and installed. " "The point is, much effort has been put into avoiding the need for re-" "installation, so think of it as your very last option. The installer is " "not designed to re-install over an existing system." msgstr "" "&debian-gnu;에서는 잘되지 않는 경우, OS를 대체하지 않고 교체할 수 는 케이스" "가 훨씬 많습니다. 업그레이드 때 전부 다 설치 필요 없고, 항상 그 자리에서 업" "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또한 OS의 릴리스가 계속해서 프로그램을 항상 호환 합니" "다. 프로그램의 새로운 버전이 최신에 의존하는 소프트웨어를 요구하는 경우 " "&debian; 패키지 시스템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확실하게 설치" "합니다. 다시 설치하지 않도록 힘써 왔으며, 다시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고하는 " "것은 최후의 수단이라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설치 프로그램은 기존 시스템 위에 다" "시 설치하도록 설계되지 않았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48 #, no-c-format msgid "" "Here's a road map for the steps you will take during the installation " "process." msgstr "다음은 설치 과정에서 해야 할 단계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56 #, no-c-format msgid "" "Back up any existing data or documents on the hard disk where you plan to " "install." msgstr "설치하려는 하드 디스크에 들어 있는 데이터나 문서를 백업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62 #, no-c-format msgid "" "Gather information about your computer and any needed documentation, before " "starting the installation." msgstr "" "설치를 시작하기 전에 해당 컴퓨터에 대한 정보와 필요한 문서를 모으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68 #, no-c-format msgid "Create partitionable space for &debian; on your hard disk." msgstr "하드 디스크의 &debian; 파티션에 사용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73 #, no-c-format msgid "" "Locate and/or download the installer software and any specialized driver or " "firmware files your machine requires." msgstr "" "컴퓨터에 필요한 설치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와 특별히 필요한 드라이버 파일의 위치" "를 확인하여 다운로드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79 #, no-c-format msgid "" "Set up boot media such as CDs/DVDs/USB sticks or provide a network boot " "infrastructure from which the installer can be booted." msgstr "" "설치 프로그램이 부팅할 수 있도록 CD/DVD/USB 메모리와 같은 부팅 미디어를 설정" "하거나, 네트워크 부팅 환경을 만드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85 #, no-c-format msgid "Boot the installation system." msgstr "설치 시스템을 부팅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90 #, no-c-format msgid "Select the installation language." msgstr "설치 언어를 선택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95 #, no-c-format msgid "Activate the ethernet network connection, if available." msgstr "이더넷 네트워크 연결이 있으면 활성화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01 #, no-c-format msgid "Configure one network interface." msgst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하나 설정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06 #, no-c-format msgid "Open an ssh connection to the new system." msgstr "새 시스템에 SSH 연결을 여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11 #, no-c-format msgid "Attach one or more DASDs (Direct Access Storage Device)." msgstr "1개 이상의 DASD(Direct Access Storage Device)를 부착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17 #, no-c-format msgid "" "If necessary, resize existing partitions on your target harddisk to make " "space for the installation." msgstr "" "필요한 경우 대상 하드 디스크의 기존 파티션의 크기를 바꿔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 "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22 #, no-c-format msgid "Create and mount the partitions on which &debian; will be installed." msgstr "&debian;을 설치할 파티션을 만들고 마운트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27 #, no-c-format msgid "" "Watch the automatic download/install/setup of the base system." msgstr "" "베이스 시스템의 자동 다운로드/설치/설정을 지켜보십시" "오." #. Tag: para #: preparing.xml:133 #, no-c-format msgid "Select and install additional software." msgstr "추가 소프트웨어를 선택하고 설치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38 #, no-c-format msgid "" "Install a boot loader which can start up &debian-gnu; " "and/or your existing system." msgstr "" "&debian-gnu; 및 기존 시스템을 시작할 수 있는 부트로더" "를 설치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44 #, no-c-format msgid "Load the newly installed system for the first time." msgstr "새로 설치한 시스템을 처음으로 시작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51 #, no-c-format msgid "" "For &arch-title; you have the option of using a an experimental an experimental graphical version of the installation " "system.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is graphical installer, see ." msgstr "" "&arch-title;에서는 실험적인실험적인 그래픽 버전의 설치 시스템을 사용하는 옵션이 있" "습니다. 그래픽 설치 프로그램에 대해 더 자세한 정보는 를 참조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60 #, no-c-format msgid "" "If you have problems during the installation, it helps to know which " "packages are involved in which steps. Introducing the leading software " "actors in this installation drama:" msgstr "" "설치할 때 문제가 발생할 때를 대비해서, 각 단계가 어떤 패키지와 상관이 있는지 " "알아 두는 게 좋습니다. 이 설치 단계의 주요 소프트웨어를 소개하면:" #. Tag: para #: preparing.xml:166 #, no-c-format msgid "" "The installer software, debian-installer, is the " "primary concern of this manual. It detects hardware and loads appropriate " "drivers, uses dhcp-client to set up the network " "connection, runs debootstrap to install the base " "system packages, and runs tasksel to allow you to " "install certain additional software. Many more actors play smaller parts in " "this process, but debian-installer has completed its " "task when you load the new system for the first time." msgstr "" "설치 소프트웨어인 debian-installer는 이 안내서에서 가" "장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debian-installer는 하드웨어를 " "찾아서 적당한 드라이버를 읽어들이고, dhcp-client를 이" "용해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debootstrap을 실행해 베" "이스 시스템 패키지를 설치하고, tasksel로 특정 소프트웨" "어를 추가로 설치합니다. 이 외에 많은 소프트웨어가 각 단계에서 작은 역할을 담" "당하고 있지만, 새 시스템이 처음 시작하기까지 전까지는 debian-" "installer가 작업을 마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78 #, no-c-format msgid "" "To tune the system to your needs, tasksel allows you " "to choose to install various predefined bundles of software like a Web " "server or a Desktop environment." msgstr "" "필요에 따라 시스템을 조정하려면, tasksel을 이용해 웹서" "버 또는 데스크톱 환경과 같은 미리 정의한 다양한 번들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 "있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84 #, no-c-format msgid "" "One important option during the installation is whether or not to install a " "graphical desktop environment, consisting of the X Window System and one of " "the available graphical desktop environments. If you choose not to select " "the Desktop environment task, you will only have a relatively " "basic, command line driven system. Installing the Desktop environment task " "is optional because in relation to a text-mode-only system it requires a " "comparatively large amount of disk space and because many &debian-gnu; " "systems are servers which don't really have any need for a graphical user " "interface to do their job." msgstr "" "설치할 때 중요한 옵션의 하나가 그래픽 데스크톱 환경을 설치할 지 옵션입니다. " "그래픽 데스크톱 환경은 X 윈도우 시스템과 그래픽 데스크톱 환경 하나로 구성되" "어 있습니다. 데스크톱 환경 태스크를 선택하지 않으면, 아주 기본" "적인 명령행 기반 시스템만 설치합니다. 데스크톱 환경 태스크 설치는 옵션입니" "다. 데스크톱 환경 태스크를 설치하면 텍스트 전용 시스템과 비교해 큰 디스크 공" "간을 차지하기 때문이고, 또 많은 &debian-gnu; 시스템은 서버로 동작하기 때문에 " "동작하는 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전혀 필요없기 때문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97 #, no-c-format msgid "" "Just be aware that the X Window System is completely separate from " "debian-installer, and in fact is much more " "complicated. Troubleshooting of the X Window System is not within the scope " "of this manual." msgstr "" "X 윈도우 시스템은 debian-installer와는 완전히 별도의 " "소프트웨어이고, 실제로 훨씬 더 복잡합니다. X 윈도우 시스템의 문제점 해결은 " "이 안내서가 다루는 범위를 벗어납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212 #, no-c-format msgid "Back Up Your Existing Data!" msgstr "기존 데이터를 백업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213 #, no-c-format msgid "" "Before you start, make sure to back up every file that is now on your " "system. If this is the first time a non-native operating system is going to " "be installed on your computer, it is quite likely you will need to re-" "partition your disk to make room for &debian-gnu;. Anytime you partition " "your disk, you run a risk of losing everything on the disk, no matter what " "program you use to do it. The programs used in the installation of &debian-" "gnu; are quite reliable and most have seen years of use; but they are also " "quite powerful and a false move can cost you. Even after backing up, be " "careful and think about your answers and actions. Two minutes of thinking " "can save hours of unnecessary work." msgstr "" "시작하기 전에 지금 시스템에 있는 모든 파일을 백업해 두십시오. 원래 설치된 운" "영 체제가 아닌 운영 체제를 처음으로 설치하는 거라면, &debian-gnu;의 루트로 " "쓸 디스크를 다시 파티션해야 합니다. 파티션 프로그램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 "하든 간에, 디스크를 파티션하면 그 디스크에 있는 모든 파일을 잃어버리는 걸 감" "수해야 합니다. &debian-gnu; 설치에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상당히 안정적이고 수년" "동안 사용해 온 프로그램이지만, 그만큼 강력하기도 해서 조금만 잘못하면 막심한 " "손해가 발생합니다. 백업을 한 뒤에도 대답을 할 때나 어떤 작업을 할 때 신중을 " "기하십시오. 일이분만 더 생각하면 수 시간의 불필요한 작업을 예방할 수 있습니" "다." #. Tag: para #: preparing.xml:226 #, no-c-format msgid "" "If you are creating a multi-boot system, make sure that you have the " "distribution media of any other present operating systems on hand. Even " "though this is normally not necessary, there might be situations in which " "you could be required to reinstall your operating system's boot loader to " "make the system boot or in a worst case even have to reinstall the complete " "operating system and restore your previously made backup." msgstr "" "멀티 부팅 시스템을 만든다면, 기존 운영 체제의 배포 미디어를 가지고 있으십시" "오. 보통 그럴 필요가 없겠지만 시스템이 부팅하려면 부트로더를 다시 설치해야 " "할 수도 있고, 최악의 상황에서는 전체 운영 체제를 다시 설치하고 백업한 내용을 " "복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245 #, no-c-format msgid "Information You Will Need" msgstr "필요한 정보" #. Tag: title #: preparing.xml:248 #, no-c-format msgid "Documentation" msgstr "문서" #. Tag: title #: preparing.xml:251 #, no-c-format msgid "Installation Manual" msgstr "설치 안내서" #. Tag: para #: preparing.xml:253 #, no-c-format msgid "This document you are now reading, in plain ASCII, HTML or PDF format." msgstr "지금 읽고 있는 문서입니다. 일반 텍스트, HTML, 혹은 PDF 형식." #. Tag: itemizedlist #: preparing.xml:259 #, no-c-format msgid "&list-install-manual-files;" msgstr "&list-install-manual-files;" #. Tag: para #: preparing.xml:265 #, no-c-format msgid "" "The document you are now reading, which is the official version of the " "Installation Guide for the &releasename; release of &debian;; available in " "various formats and " "translations." msgstr "" "지금 읽고 있는 이 문서는 &debian;의 &releasename; 릴리스 공식 설치 가이드의 " "개발 버전입니다. 이것은 다양" "한 형식과 언어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274 #, no-c-format msgid "" "The document you are now reading, which is a development version of the " "Installation Guide for the next release of &debian;; available in various formats and translations." msgstr "" "지금 읽고있는이 문서는 &debian;의 차기 릴리스 설치 가이드의 개발 버전입니다. " "이것은 다양한 형식과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286 #, no-c-format msgid "Hardware documentation" msgstr "하드웨어 문서" #. Tag: para #: preparing.xml:287 #, no-c-format msgid "" "Often contains useful information on configuring or using your hardware." msgstr "하드웨어를 설정하고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유용한 정보가 들어있습니다." #. Tag: ulink #: preparing.xml:298 #, no-c-format msgid "The Debian Wiki hardware page" msgstr "데비안 위키 하드웨어 페이지" #. Tag: ulink #: preparing.xml:304 #, no-c-format msgid "Linux/MIPS website" msgstr "Linux/MIPS 웹사이트" #. Tag: title #: preparing.xml:313 #, no-c-format msgid "&arch-title; Hardware References" msgstr "&arch-title; 하드웨어 참고서" #. Tag: para #: preparing.xml:314 #, no-c-format msgid "" "Documentation of &arch-title;-specific boot sequence, commands and device " "drivers (e.g. DASD, XPRAM, Console, OSA, HiperSockets and z/VM interaction)" msgstr "" "&arch-title; 특정 부팅 순서의 문서, 명령 및 장치 드라이버(예를 들면, DASD, " "XPRAM, Console, OSA, HiperSockets 및 z/VM interaction)." #. Tag: ulink #: preparing.xml:325 #, no-c-format msgid "Device Drivers, Features, and Commands (Linux Kernel 3.2)" msgstr "장치 드라이버, 기능 및 명령(리눅스 커널 3.2)" #. Tag: para #: preparing.xml:330 #, no-c-format msgid "" "IBM Redbook describing how Linux can be combined with z/VM on zSeries and " "&arch-title; hardware." msgstr "" "IBM 레드북, zSeries 및 &arch-title; 하드웨어에서 z/VM에 리눅스를 쓰는 방법을 " "설명합니다." #. Tag: ulink #: preparing.xml:340 #, no-c-format msgid "Linux for &arch-title;" msgstr "&arch-title;용 리눅스" #. Tag: para #: preparing.xml:346 #, no-c-format msgid "" "IBM Redbook describing the Linux distributions available for the mainframe. " "It has no chapter about &debian; but the basic installation concepts are the " "same across all &arch-title; distributions." msgstr "" "메인 프레임용 Linux 배포판에 대해 설명하는 IBM 레드북입니다. &debian;에 관한 " "내용이 들어 있지 않지만 기본적인 설치 방법은 모든 &arch-title;배포판과 같습니" "다." # IBM Redbook 이름 #. Tag: ulink #: preparing.xml:357 #, no-c-format msgid "Linux for IBM eServer zSeries and &arch-title;: Distributions" msgstr "Linux for IBM eServer zSeries and &arch-title;: Distributions" #. Tag: title #: preparing.xml:367 #, no-c-format msgid "Finding Sources of Hardware Information" msgstr "하드웨어 정보가 있는 곳 찾기" #. Tag: para #: preparing.xml:368 #, no-c-format msgid "" "In many cases, the installer will be able to automatically detect your " "hardware. But to be prepared, we do recommend familiarizing yourself with " "your hardware before the install." msgstr "" "보통은 설치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하드웨어를 찾아 냅니다. 하지만 철저히 준비" "하려면, 설치하기 전에 하드웨어에 대해 잘 알아 두는 게 좋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374 #, no-c-format msgid "Hardware information can be gathered from:" msgstr "하드웨어 정보는 다음에서 알아낼 수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381 #, no-c-format msgid "The manuals that come with each piece of hardware." msgstr "하드웨어에 같이 들어 있는 설명서." #. Tag: para #: preparing.xml:386 #, no-c-format msgid "" "The BIOS/UEFI setup screens of your computer. You can view these screens " "when you start your computer by pressing a combination of keys. Check your " "manual for the combination. Often, it is the Delete or the " "F2 key, but some manufacturers use other keys or key " "combinations. Usually upon starting the computer there will be a message " "stating which key to press to enter the setup screen." msgstr "" "컴퓨터의 BIOS/UEFI 설정 화면. 컴퓨터가 시작할 때 어떤 키 조합을 누르면 BIOS " "설정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보통 Delete 또는 F2 키이지만, 제조사에 따라 다른 키나 키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보" "통 컴퓨터 부팅할 때 어떤 키를 눌러야 설정 메뉴로 들어가는지 메시지를 표시합니" "다." #. Tag: para #: preparing.xml:396 #, no-c-format msgid "The cases and boxes for each piece of hardware." msgstr "하드웨어의 케이스 및 포장." #. Tag: para #: preparing.xml:402 #, no-c-format msgid "The System window in the Windows Control Panel." msgstr "윈도우 제어판의 시스템 창." #. Tag: para #: preparing.xml:408 #, no-c-format msgid "" "System commands or tools in another operating system, including file manager " "displays. This source is especially useful for information about RAM and " "hard drive memory." msgstr "" "파일 관리자에서 표시하는 것과 같은, 다른 운영 체제의 시스템 명령어 및 시스템 " "도구. 특히 RAM과 하드 드라이브에 대한 정보를 알아내는 데 유용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415 #, no-c-format msgid "" "Your system administrator or Internet Service Provider. These sources can " "tell you the settings you need to set up your networking and e-mail." msgstr "" "시스템 관리자 혹은 인터넷 서비스 회사. 여기서는 네트워크 및 전자메일 설정에 " "관련된 사항을 알 수 있습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427 #, no-c-format msgid "Hardware Information Helpful for an Install" msgstr "설치에 도움이 되는 하드웨어 정보" #. Tag: entry #: preparing.xml:431 #, no-c-format msgid "Hardware" msgstr "하드웨어" #. Tag: entry #: preparing.xml:431 #, no-c-format msgid "Information You Might Need" msgstr "필요할 수 있는 정보" #. Tag: entry #: preparing.xml:437 #, no-c-format msgid "Hard Drives" msgstr "하드 드라이브" #. Tag: entry #: preparing.xml:438 #, no-c-format msgid "How many you have." msgstr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 Tag: entry #: preparing.xml:440 #, no-c-format msgid "Their order on the system." msgstr "시스템에 붙어 있는 순서." #. Tag: entry #: preparing.xml:442 #, no-c-format msgid "Whether IDE (also known as PATA), SATA or SCSI." msgstr "IDE (PATA), SATA, SCSI 중 한 가지." #. Tag: entry #: preparing.xml:444 preparing.xml:493 #, no-c-format msgid "Available free space." msgstr "사용 가능한 빈 공간." #. Tag: entry #: preparing.xml:445 #, no-c-format msgid "Partitions." msgstr "파티션." #. Tag: entry #: preparing.xml:447 #, no-c-format msgid "Partitions where other operating systems are installed." msgstr "다른 운영 체제를 설치한 파티션." #. Tag: entry #: preparing.xml:475 #, no-c-format msgid "Network interfaces" msgst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Tag: entry #: preparing.xml:476 #, no-c-format msgid "Type/model of available network interfaces." msgstr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모델." #. Tag: entry #: preparing.xml:480 #, no-c-format msgid "Printer" msgstr "프린터" #. Tag: entry #: preparing.xml:481 #, no-c-format msgid "Model and manufacturer." msgstr "모델 및 제조사." #. Tag: entry #: preparing.xml:485 #, no-c-format msgid "Video Card" msgstr "비디오 카드" #. Tag: entry #: preparing.xml:486 #, no-c-format msgid "Type/model and manufacturer." msgstr "타입/모델 및 제조사." #. Tag: entry #: preparing.xml:490 #, no-c-format msgid "DASD" msgstr "DASD" #. Tag: entry #: preparing.xml:491 #, no-c-format msgid "Device number(s)." msgstr "장치 번호." #. Tag: entry #: preparing.xml:496 #, no-c-format msgid "Network" msgstr "네트워크" #. Tag: entry #: preparing.xml:497 #, no-c-format msgid "Type of adapter." msgstr "어댑터 종류." #. Tag: entry #: preparing.xml:499 #, no-c-format msgid "Device numbers." msgstr "장치 번호." #. Tag: entry #: preparing.xml:500 #, no-c-format msgid "Relative adapter number for OSA cards." msgstr "OSA 카드의 상대 어댑터 번호." #. Tag: title #: preparing.xml:508 #, no-c-format msgid "Hardware Compatibility" msgstr "하드웨어 호환성" #. Tag: para #: preparing.xml:510 #, no-c-format msgid "" "Many products work without trouble on &arch-kernel;. Moreover, hardware " "support in &arch-kernel; is improving daily. However, &arch-kernel; still " "does not run as many different types of hardware as some operating systems." msgstr "" "여러가지 제품이 문제없이 &arch-kernel;에서 작동합니다. 또한 &arch-kernel;에" "서 지원하는 하드웨어는 날이 갈수록 발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arch-" "kernel;에서는 다른 OS 만큼 다양한 하드웨어를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516 #, no-c-format msgid "" "Drivers in &arch-kernel; in most cases are not written for a certain " "product or brand from a specific manufacturer, " "but for a certain hardware/chipset. Many seemingly different products/brands " "are based on the same hardware design; it is not uncommon that chip " "manufacturers provide so-called reference designs for " "products based on their chips which are then used by several different " "device manufacturers and sold under lots of different product or brand names." msgstr "" "&arch-kernel;의 대부분 드라이버는 특정 제조사의 특정 제품이나 특정 브랜드를 " "위해 작성된 드라이버가 아니고, 특정 하드웨어/칩셋에 맞춰 작성되었습니다. 한 " "개의 하드웨어 설계에 맞춰 여러 개의 제품과 브랜드가 있습니다. 보통 칩 제조사" "는 레퍼런스 설계라는 것을 제공하고, 거기에 맞춰 여러가지 제조" "사가 여러가지 제품과 브랜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527 #, no-c-format msgid "" "This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 advantage is that a driver for one " "chipset works with lots of different products from different manufacturers, " "as long as their product is based on the same chipset. The disadvantage is " "that it is not always easy to see which actual chipset is used in a certain " "product/brand. Unfortunately sometimes device manufacturers change the " "hardware base of their product without changing the product name or at least " "the product version number, so that when having two items of the same brand/" "product name bought at different times, they can sometimes be based on two " "different chipsets and therefore use two different drivers or there might be " "no driver at all for one of them." msgstr "" "이러한 방식은 장점과 단점이 있습니다. 장점은 한 개의 칩셋 드라이버가, 여러가" "지 제조사와 여러가지 제품에서 그 칩셋을 계속 사용하는 한 동작한다는 점입니" "다. 단점은 어떤 제품에 어떤 칩셋이 사용되었는지 정확히 아는 게 쉬운 일만은 아" "니라는 점입니다. 심지어 장치 제조사는 제품 이름이나 제품 버전을 바꾸지도 않" "고 하드웨어 구조를 바꿔 버리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시간이 지난 다음에 같은 브" "랜드나 같은 이름의 제품을 구입하더라도 다른 칩셋을 사용할 수도 있어서 다른 드" "라이버를 사용해야 하거나, 한 가지 제품만 드라이버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540 #, no-c-format msgid "" "For USB and PCI/PCI-Express/ExpressCard devices, a good way to find out on " "which chipset they are based is to look at their device IDs. All USB/PCI/PCI-" "Express/ExpressCard devices have so called vendor and " "product IDs, and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is usually the " "same for any product based on the same chipset." msgstr "" "USB 및 PCI/PCI-Express/ExpressCard 장치의 경우, 어떤 칩셋을 사용하고 있는지 " "알아내는 방법은 장치 아이디를 살펴보는 방법입니다. 모든 USB/PCI/PCI-Express/" "ExpressCard 장치는 공급사제품마다 아이디가 " "있고, 이 두 아이디의 조합이 동일하면 같은 칩셋을 사용하는 같은 제품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548 #, no-c-format msgid "" "On Linux systems, these IDs can be read with the lsusb " "command for USB devices and with the lspci -nn command " "for PCI/PCI-Express/ExpressCard devices. The vendor and product IDs are " "usually given in the form of two hexadecimal numbers, separated by a colon, " "such as 1d6b:0001." msgstr ""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이 아이디는 USB 장치의 경우 lsusb 명" "령, PCI/PCI-Express/ExpressCard 장치는 lspci -nn 명령으로 " "알아볼 수 있습니다. 공급사와 제품 아이디는 콜론으로 구분한 두 개의 16진수 숫" "자 형태로(예를 들어 1d6b:0001) 주어집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556 #, no-c-format msgid "" "An example for the output of lsusb: Bus 001 Device " "001: ID 1d6b:0002 Linux Foundation 2.0 root hub, whereby 1d6b is the " "vendor ID and 0002 is the product ID." msgstr "" "예를 들어 lsusb 출력은: Bus 001 Device 001: ID " "1d6b:0002 Linux Foundation 2.0 root hub 여기서 1d6b는 공급사 아이디이" "고 0002는 제품 아이디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562 #, no-c-format msgid "" "An example for the output of lspci -nn for an Ethernet " "card: 03:00.0 Ethernet controller [0200]: Realtek Semiconductor Co., " "Ltd. RTL8111/8168B PCI Express Gigabit Ethernet controller [10ec:8168] (rev " "06). The IDs are given inside the rightmost square brackets, i.e. " "here 10ec is the vendor- and 8168 is the product ID." msgstr "" "이더넷 카드의 lspci -nn 출력은: 03:00.0 Ethernet " "controller [0200]: Realtek Semiconductor Co., Ltd. RTL8111/8168B PCI Express " "Gigabit Ethernet controller [10ec:8168] (rev 06). 오른쪽의 각괄호 안" "에 아이디가 있습니다. 즉 10ec가 공급사 아이디이고, 8168이 제품 아이디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570 #, no-c-format msgid "" "As another example, a graphics card could give the following output: " "04:00.0 VGA compatible controller [0300]: Advanced Micro Devices " "[AMD] nee ATI RV710 [Radeon HD 4350] [1002:954f]." msgstr "" "다른 예로 그래픽 카드 출력이 다음과 같을 수도 있습니다: 04:00.0 VGA " "compatible controller [0300]: Advanced Micro Devices [AMD] nee ATI RV710 " "[Radeon HD 4350] [1002:954f]." #. Tag: para #: preparing.xml:576 #, fuzzy, no-c-format #| msgid "" #| "On Windows systems, the IDs for a device can be found in the Windows " #| "device manager on the tab details, where the vendor ID is " #| "prefixed with VEN_ and the product ID is prefixed with DEV_. On Windows 7 " #| "systems, you have to select the property Hardware IDs in " #| "the device manager's details tab to actually see the IDs, as they are not " #| "displayed by default." msgid "" "On Windows systems, the IDs for a device can be found in the Windows device " "manager on the tab details, where the vendor ID is prefixed " "with VEN_ and the product ID is prefixed with DEV_. On newer Windows " "systems, you have to select the property Hardware IDs in the " "device manager's details tab to actually see the IDs, as they are not " "displayed by default." msgstr "" "윈도우 시스템에서는 윈도우 장치 관리자의 자세히 탭에서 볼 수 " "있습니다. 여기에서 공급사 아이디는 앞에 \"VEN_\"이 붙고, 제품 아이디에는 앞" "에 \"DEV_\"이 붙습니다. 윈도우 7 시스템에서는 장치 관리자의 탭에서 기본값으로" "는 아이디가 표시되지 않고, 하드웨어 ID 속성을 선택하면 아이디" "를 볼 수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586 #, no-c-format msgid "" "Searching on the internet with the vendor/product ID, &arch-kernel; and driver as the search terms often results in " "information regarding the driver support status for a certain chipset. If a " "search for the vendor/product ID does not yield usable results, a search for " "the chip code names, which are also often provided by lsusb and lspci " "(RTL8111/RTL8168B in the network card example " "and RV710 in the graphics card example), can help." msgstr "" "인터넷에서 공급사/제품 아이디를 검색할 때, 검색어로 &arch-kernel;driver로 검색하면 드라이버의 특정 칩셋 지원에 관한 " "정보가 잘 나옵니다. 공급사/제품 아이디로 검색해도 쓸만한 결과가 나오지 않으" "면, 칩 코드로 검색해 보십시오. 칩 코드는 lsusb 및 lspci로 알 수 있습니다. (예" "를 들어 네트워크 카드는 RTL8111/RTL8168B가 있" "고 그래픽 카드는 RV710이 있습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599 #, no-c-format msgid "Testing hardware compatibility with a Live-System" msgstr "라이브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호환성 검사하기" #. Tag: para #: preparing.xml:601 #, no-c-format msgid "" "&debian-gnu; is also available as a so-called live system for " "certain architectures. A live system is a preconfigured ready-to-use system " "in a compressed format that can be booted and used from a read-only medium " "like a CD or DVD. Using it by default does not create any permanent changes " "on your computer. You can change user settings and install additional " "programs from within the live system, but all this only happens in the " "computer's RAM, i.e. if you turn off the computer and boot the live system " "again, everything is reset to its defaults. If you want to see whether your " "hardware is supported by &debian-gnu;, the easiest way is to run a &debian; " "live system on it and try it out." msgstr "" "&debian-gnu;는 일부 아키텍처에서는 라이브 시스템라고 말하는 방" "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 시스템은 CD나 DVD같은 읽기 전용 미디어에" "서 부팅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컴퓨터에 아무 것도 " "변경하지 않습니다. 라이브 시스템에서 사용자 설정을 바꿀 수도 있고 프로그램을 "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컴퓨터의 램 안에서만 벌어지는 일입니다. 즉 컴퓨터" "를 껐다가 다시 라이브 시스템으로 부팅하면 모조리 기본값으로 초기화됩니다. " "&debian-gnu;에서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지원하는지 알아볼 때 가장 쉬운 방법은 " "&debian; 라이브 시스템을 돌려보고 사용해 보는 방법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614 #, no-c-format msgid "" "There are a few limitations in using a live system. The first is that as all " "changes you do within the live system must be held in your computer's RAM, " "this only works on systems with enough RAM to do that, so installing " "additional large software packages may fail due to memory constraints. " "Another limitation with regards to hardware compatibility testing is that " "the official &debian-gnu; live system contains only free components, i.e. " "there are no non-free firmware files included in it. Such non-free packages " "can of course be installed manually within the system, but there is no " "automatic detection of required firmware files like in the &d-i;, so " "installation of non-free components must be done manually if needed." msgstr "" "라이브 시스템은 사용하는데 몇 가지 제약이 있습니다. 첫째는 라이브 시스템에서 " "안에서 한 작업이 컴퓨터의 램에 들어가기 때문에 램이 충분히 큰 시스템에서만 동" "작합니다. 그러므로 용량이 큰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경우 메모리 부족으로 실패할 "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호환성 테스트와 관련된 또 제약은 공식 &debian-gnu; 라이" "브 시스템에는 자유 소프트웨어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즉 독점 펌웨어 파" "일은 들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한 독점 펌웨어 패키지를 수동으로 설치할 수도 있" "지만, &d-i;와 같은 펌웨어 파일 자동 검색 기능은 없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독" "점 구성요소는 수동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627 #, no-c-format msgid ""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variants of the &debian; live images can be " "found at the Debian Live Images website." msgstr "" "사용할 수 있는 &debian; 라이브 이미지의 종류는 데비안 라이브 이미지 웹사이트에 있습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641 #, no-c-format msgid "Network Settings" msgstr "네트워크 설정" #. Tag: para #: preparing.xml:643 #, no-c-format msgid "" "If your computer is connected to a fixed network (i.e. an Ethernet or " "equivalent connection — not a dialup/PPP connection) which is " "administered by somebody else, you should ask your network's system " "administrator for this information:" msgstr "" "컴퓨터가 다른 누군가가 관리하고 있는 고정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면(이더넷" "이나 비슷한 연결의 경우, 전화접속이나 PPP는 아님),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자에" "게 이러한 정보를 알아봐야 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651 #, no-c-format msgid "Your host name (you may be able to decide this on your own)." msgstr "호스트 이름(직접 정할 수도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656 #, no-c-format msgid "Your domain name." msgstr "도메인 이름." #. Tag: para #: preparing.xml:661 #, no-c-format msgid "Your computer's IP address." msgstr "컴퓨터의 IP 주소." #. Tag: para #: preparing.xml:666 #, no-c-format msgid "The netmask to use with your network." msgstr "네트워크에 사용할 네트마스크." #. Tag: para #: preparing.xml:671 #, no-c-format msgid "" "The IP address of the default gateway system you should route to, if your " "network has a gateway." msgstr "" "라우팅하는 데 쓸 기본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IP 주소(게이트웨이가 있" "는 경우)." #. Tag: para #: preparing.xml:677 #, no-c-format msgid "" "The system on your network that you should use as a DNS (Domain Name " "Service) server." msgstr "네트워크에서 DNS (Domain Name Service) 서버로 사용할 시스템." #. Tag: para #: preparing.xml:685 #, no-c-format msgid "" "If the network you are connected to uses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 "Protocol) for configuring network settings, you don't need this information " "because the DHCP server will provide it directly to your computer during the " "installation process." msgstr "" "연결된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설정에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를 사용한다면 이 정보가 필요 없습니다. 설치할 때 DHCP 서버에서 컴퓨터로 이 정" "보를 알려줍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692 #, no-c-format msgid "" "If you have internet access via DSL or cable modem (i.e. over a cable tv " "network) and have a router (often provided preconfigured by your phone or " "catv provider) which handles your network connectivity, DHCP is usually " "available by default." msgstr "" "DSL이나 케이블 모뎀을(예를 들어 케이블 TV 네트워크를 통해) 통해 인터넷을 사용" "하고 라우터가(보통 전화 또는 케이블 사업자가 설정한 상태로 설치됩니다) 네트워" "크 연결을 처리하는 경우, 보통 DHCP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700 #, no-c-format msgid "" "As a rule of thumb: if you run a Windows system in your home network and did " "not have to manually perform any network settings there to achieve Internet " "access, network connectivity in &debian-gnu; will also be configured " "automatically." msgstr "" "한 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홈 네트워크에 윈도우 시스템이 있는데 인터넷" "에 연결하는데 수동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할 필요가 없었다면, &debian-gnu;의 네" "트워크 연결도 마찬가지로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707 #, no-c-format msgid "If you use a WLAN/WiFi network, you should find out:" msgstr "무선랜/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사용한다면, 다음을 알아봐야 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712 #, no-c-format msgid "The ESSID (network name) of your wireless network." msgstr "무선 네트워크의 ESSID(네트워크 이름)." #. Tag: para #: preparing.xml:717 #, no-c-format msgid "The WEP or WPA/WPA2 security key to access the network (if applicable)." msgstr "" "이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 사용할 WEP 또는 WPA/WPA2 보안 키(보안 키를 사용하는 " "경우)." #. Tag: title #: preparing.xml:734 #, no-c-format msgid "Meeting Minimum Hardware Requirements" msgstr "최소 하드웨어 요구 사항 맞추기" #. Tag: para #: preparing.xml:735 #, no-c-format msgid "" "Once you have gathered information about your computer's hardware, check " "that your hardware will let you do the type of installation that you want to " "do." msgstr "" "컴퓨터의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를 모았으면, 설치하려는 방법대로 그 하드웨어에" "서 설치할 수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741 #, no-c-format msgid "" "Depending on your needs, you might manage with less than some of the " "recommended hardware listed in the table below. However, most users risk " "being frustrated if they ignore these suggestions." msgstr "" "필요에 따라서는, 아래의 표에 나온 하드웨어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하드웨어로도 " "설치할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 제안을 무시할 경우 대부분 사용자는 " "짜증나는 문제를 겪게 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747 #, no-c-format msgid "" "A Pentium 4, 1GHz system is the minimum recommended for a desktop system." msgstr "데스크톱 시스템 용도로 최소 펜티엄 4 1GHz 시스템을 추천합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763 #, no-c-format msgid "Recommended Minimum System Requirements" msgstr "추천하는 최소 시스템 요구사항" #. Tag: entry #: preparing.xml:767 #, no-c-format msgid "Install Type" msgstr "설치 종류" #. Tag: entry #: preparing.xml:768 #, no-c-format msgid "RAM (minimum)" msgstr "램(최소)" #. Tag: entry #: preparing.xml:769 #, no-c-format msgid "RAM (recommended)" msgstr "램(추천)" #. Tag: entry #: preparing.xml:770 #, no-c-format msgid "Hard Drive" msgstr "하드 드라이브" #. Tag: entry #: preparing.xml:776 #, no-c-format msgid "No desktop" msgstr "데스크톱 없음" #. Tag: entry #: preparing.xml:777 #, no-c-format msgid "&ref-no-desktop-ram-minimum;" msgstr "&ref-no-desktop-ram-minimum;" #. Tag: entry #: preparing.xml:778 #, no-c-format msgid "&ref-no-desktop-ram-recommend;" msgstr "&ref-no-desktop-ram-recommend;" #. Tag: entry #: preparing.xml:779 #, no-c-format msgid "&ref-no-desktop-hd;" msgstr "&ref-no-desktop-hd;" #. Tag: entry #: preparing.xml:781 #, no-c-format msgid "With Desktop" msgstr "데스크톱 포함" #. Tag: entry #: preparing.xml:782 #, no-c-format msgid "&ref-with-desktop-ram-minimum;" msgstr "&ref-with-desktop-ram-minimum;" #. Tag: entry #: preparing.xml:783 #, no-c-format msgid "&ref-with-desktop-ram-recommend;" msgstr "&ref-with-desktop-ram-recommend;" #. Tag: entry #: preparing.xml:784 #, no-c-format msgid "&ref-with-desktop-hd;" msgstr "&ref-with-desktop-hd;" #. Tag: para #: preparing.xml:789 #, fuzzy, no-c-format #| msgid "" #| "The minimum values assumes that swap will be enabled and a non-liveCD " #| "image is used. The No desktop value assumes that the non-" #| "graphical (text-based) installer is used." msgid "" "The minimum values assumes that swap will be enabled and a non-liveCD image " "is used. The No desktop value assumes that the text-based " "installer (not the graphical one) is used." msgstr "" "최소값은 스왑 기능을 사용하고 liveCD가 아닌 이미지를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최" "소값입니다. 데스크톱 없음 값은 그래픽이 아닌 (텍스트 기반) 설" "치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는 가정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795 #, no-c-format msgid "" "The actual minimum memory requirements are a lot less than the numbers " "listed in this table. With swap enabled, it is possible to install &debian; " "with as little as &minimum-memory-strict;. The same goes for the disk space " "requirements, especially if you pick and choose which applications to " "install; see for additional " "information on disk space requirements." msgstr "" "실제로 필요한 최소 메모리는 이 표에 나와 있는 숫자보다 훨씬 작습니다. 스왑을 " "사용하면, &minimum-memory-strict;만큼 작은 메모리에서도 &debian;을 설치할 수 " "있습니다. 필요한 디스크 공간도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설치할 프로그램을 직접 선" "택하면 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디스크 공간에 대한 추가 정보는 " "를 참조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805 #, no-c-format msgid "" "The installer normally automatically enables memory-saving tricks to be able " "to run on such low-memory system, but on architectures that are less tested " "it may miss doing so. It can however be enabled manually by appending the " "lowmem=1 or even lowmem=2 boot " "parameter (see also and )." msgstr "" "설치 프로그램은 보통 그러한 저용량 메모리 시스템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자동으" "로 메모리 절약 기법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시험이 덜 된 아키텍쳐에서는 그러한 " "기법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고 놓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lowmem=1 또는 lowmem=2 부팅 파라미터를 수동으로 사용" "하면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위치도 참고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814 #, no-c-format msgid "" "On &architecture; the lowmem levels have not been tested, so automatic " "detection is probably outdated and you thus probably need to pass the boot parameter if your system has little memory." msgstr "" "&architecture; 아키텍쳐에서 lowmem 단계를 시험되지 않았습니다, 즉 자동 검색 " "기능은 오래 되었고, 그러므로 시스템의 메모리 용량이 작을 경우 부팅 파라미터 " "전달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820 #, no-c-format msgid "" "Installation on systems with less memory " "Installation images that support the graphical installer require more memory " "than images that support only the text-based installer and should not be " "used on systems with less than &minimum-memory; of memory. If there is a " "choice between booting the text-based and the graphical installer, the " "former should be selected on such systems. or disk space " "available may be possible but is only advised for experienced users." msgstr "" "메모리나 그래픽 설치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 "설치 이미지는 텍스트 기반 설치 이미지보다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합니다. 그리" "고 그래픽 설치 이미지는 메모리가 &minimum-memory;보다 작으면 사용할 수 없습니" "다. 텍스트 설치 프로그램과 그래픽 설치 프로그램중에 하나를 시작하는 경우에, " "이렇게 메모리가 작은 시스템에서는 텍스트 설치 프로그램을 고르십시오. " " 빈 디스크 공간이 작은 시스템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전문적인 사용자" "만 하기를 권장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837 #, no-c-format msgid "" "It is possible to run a graphical desktop environment on older or low-end " "systems, but in that case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a window manager that " "is less resource-hungry than those of the GNOME or KDE Plasma desktop " "environments; alternatives include xfce4, " "icewm and wmaker, but there " "are others to choose from." msgstr "" "성능이 낮은 오래된 시스템에도 그래픽 데스크톱 환경을 설치할 수 있지만, 그놈이" "나 KDE 플라즈마 데스크톱 환경을 설치하지 말고 리소스를 적게 차지하는 윈도우 " "매니저를 설치하길 권장합니다. 예를 들어 xfce4, " "icewm, wmaker 등 기타 여러가지" "가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846 #, no-c-format msgid ""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give general memory or disk space " "requirements for server installations as those very much depend on what the " "server is to be used for." msgstr "" "서버로 설치할 경우 필요한 메모리나 디스크 공간을 예측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합니" "다. 그 서버가 어떤 용도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많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852 #, no-c-format msgid "" "Remember that these sizes don't include all the other materials which are " "usually to be found, such as user files, mail, and data. It is always best " "to be generous when considering the space for your own files and data." msgstr "" "여기 나와 있는 크기는 사용자 파일, 메일,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는 포함하지 " "않은 숫자입니다. 사용자의 파일 및 데이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잡을 때는 넉넉하" "게 잡는 게 좋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859 #, no-c-format msgid "" "Disk space required for the smooth operation of the &debian-gnu; system " "itself is taken into account in these recommended system requirements. " "Notably, the /var partition contains a lot of state " "information specific to &debian; in addition to its regular contents, like " "logfiles. The dpkg files (with information on all " "installed packages) can easily consume 40MB. Also, apt " "puts downloaded packages here before they are installed. You should usually " "allocate at least 200MB for /var, and a lot more if you " "install a graphical desktop environment." msgstr "" "&debian-gnu; 시스템을 원활히 동작시키는 데 필요한 디스크 공간은 권장 시스템 " "요구 사항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특히, /var 파티션에 로그 " "파일 같은 일반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debian; 특유의 상태 정보가 들어 있습니" "다. dpkg 파일은(설치 패키지에 대한 정보) 쉽게 40MB를 차지" "합니다. 또한 apt는 설치하기 전에 다운로드한 패키지를 여기" "에 놓습니다. /var에 최소 200MB를 할당해야만 합니다. 그리" "고 그래픽 데스크톱 환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더 할당 할 것입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883 #, no-c-format msgid "Pre-Partitioning for Multi-Boot Systems" msgstr "멀티 부팅 시스템에서 미리 파티션하기" #. Tag: para #: preparing.xml:884 #, no-c-format msgid "" "Partitioning your disk simply refers to the act of breaking up your disk " "into sections. Each section is then independent of the others. It's roughly " "equivalent to putting up walls inside a house; if you add furniture to one " "room it doesn't affect any other room." msgstr "" "디스크 파티션은 디스크를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는 작업을 말합니다. 각각의 조" "각은 다른 조각과 독립적입니다. 비유 하자면 집에 벽을 놓는 것과 비슷합니다. 어" "떤 방에 가구를 놓는다고 해서 다른 방에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891 #, no-c-format msgid "" "Whenever this section talks about disks you should translate " "this into a DASD or VM minidisk in the &arch-title; world. Also a machine " "means an LPAR or VM guest in this case." msgstr "" "여기서 디스크에 관해 이야기할 때에는, &arch-title;에 있는 DASD" "나 VM 미니디스크로 해석해야 합니다. 또 이 경우 컴퓨터라고 할 때는 LPAR이나 " "VM guest를 말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897 #, fuzzy, no-c-format #| msgid "" #| "If you already have an operating system on your system (Windows 9x, Windows NT/2000/XP/2003/Vista/7, OS/2, MacOS, " #| "Solaris, FreeBSD, …) (VM, z/OS, " #| "OS/390, …) which uses the whole disk and you want to " #| "stick &debian; on the same disk, you will need to repartition it. " #| "&debian; requires its own hard disk partitions. It cannot be installed on " #| "Windows or Mac OS X partitions. It may be able to share some partitions " #| "with other Unix systems, but that's not covered here. At the very least " #| "you will need a dedicated partition for the &debian; root filesystem." msgid "" "If you already have an operating system on your system (Windows, OS/2, MacOS, Solaris, FreeBSD, …) (VM, z/OS, OS/390, …) which uses the whole " "disk and you want to stick &debian; on the same disk, you will need to " "repartition it. &debian; requires its own hard disk partitions. It cannot be " "installed on Windows or Mac OS X partitions. It may be able to share some " "partitions with other Unix systems, but that's not covered here. At the very " "least you will need a dedicated partition for the &debian; root filesystem." msgstr "" "시스템에 이미 다른 운영 체제(윈도우 9x, 윈도우 " "NT/2000/XP/2003/Vista/7, OS/2, 맥오에스, 솔라리스, FreeBSD, …)(VM, z/OS, OS/390, …)가 전체 디" "스크를 차지하고 있으면서, 같은 디스크에 &debian;도 설치하려는 경우에는 디스" "크 파티션 분할을 다시 시작해야합니다. &debian;은 윈도우나 맥오에스 파티션에 " "설치할 수 없습니다. 다른 유닉스 시스템과는 일부 파티션을 공유할 수 있을지도 " "모르지만, 여기에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적어도 &debian;의 root에 사용할 전용 파" "티션이 필요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916 #, fuzzy, no-c-format #| msgid "" #| "You can find information about your current partition setup by using a " #| "partitioning tool for your current operating system, such as the integrated Disk Manager in Windows or fdisk in DOS, such as Disk Utility, Drive Setup, HD " #| "Toolkit, or MacTools, such as the VM " #| "diskmap. Partitioning tools always provide a way to show " #| "existing partitions without making changes." msgid "" "You can find information about your current partition setup by using a " "partitioning tool for your current operating system, such as the integrated Disk Manager in Windows, such as Disk Utility, Drive Setup, HD Toolkit, or MacTools, such as the VM diskmap. Partitioning " "tools always provide a way to show existing partitions without making " "changes." msgstr "" "현재 파티션 상태 정보는 현재 운영 체제의 파티션 프로그램을 이용해 알 수 있습" "니다. 윈도우의 내장 디스크 관리자 또는 DOS의 fdisk, Disk Utility, Drive Setup, HD Toolkit, " "MacTools, VM diskmap 같은 프로그램이 " "있습니다. 파티션하는 프로그램은 파티션을 바꾸지 않고도 현재 파티션을 표시하" "는 기능이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925 #, no-c-format msgid "" "In general, changing a partition with a file system already on it will " "destroy any information there. Thus you should always make backups before " "doing any repartitioning. Using the analogy of the house, you would probably " "want to move all the furniture out of the way before moving a wall or you " "risk destroying it." msgstr "" "이미 파일 시스템이 들어 있는 파티션을 바꾸면 보통 거기에 들어 있는 정보가 모" "두 망가집니다. 그러므로 파티션 작업을 하기 하기 전에 항상 백업을 만들어야 합" "니다. 집의 경우에 비유하자면, 벽을 옮기기 전에 모든 가구를 다른 곳에 옮겨 놓" "아야 가구가 망가지지 않을 겁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933 #, fuzzy, no-c-format #| msgid "" #| "Several modern operating systems offer the ability to move and resize " #| "certain existing partitions without destroying their contents. This " #| "allows making space for additional partitions without losing existing " #| "data. Even though this works quite well in most cases, making changes to " #| "the partitioning of a disk is an inherently dangerous action and should " #| "only be done after having made a full backup of all data. For FAT/FAT32 and NTFS partitions as used by DOS and Windows " #| "systems, the ability to move and resize them losslessly is provided both " #| "by &d-i; as well as by the integrated Disk Manager of Windows 7. " msgid "" "Several modern operating systems offer the ability to move and resize " "certain existing partitions without destroying their contents. This allows " "making space for additional partitions without losing existing data. Even " "though this works quite well in most cases, making changes to the " "partitioning of a disk is an inherently dangerous action and should only be " "done after having made a full backup of all data. For FAT/FAT32 and NTFS partitions as used by Windows systems, the " "ability to move and resize them losslessly is provided both by &d-i; as well " "as by the integrated Disk Manager of Windows." msgstr "" "최근의 몇몇 운영 체제에는 파티션 내용을 망가뜨리지 않고도 파티션의 위치를 옮" "기거나 크기를 바꾸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이용해 데이터를 잃지 않고도 " "파티션을 만드는데 필요한 공간을 만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 기능은 잘 " "동작하지만 디스크 파티션을 변경하는 작업은 본래 위험한 작업이므로 데이터를 모" "두 백업한 다음 진행해야 합니다. DOS 및 윈도우 시스템" "에서 사용하는 FAT/FAT32 및 NTFS 파티션의 경우, 손실 없이 파티션을 옮기고 크기" "를 바꾸는 기능은 &d-i;에도 있고 윈도우 7의 내장 디스크 관리자에도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947 #, no-c-format msgid "" "To losslessly resize an existing FAT or NTFS partition from within &d-i;, go " "to the partitioning step, select the option for manual partitioning, select " "the partition to resize, and simply specify its new size." msgstr "" "&d-i;에서 데이터 손실 없이 기존 FAT이나 NTFS 파티션의 크기를 바꾸려면, 파티션" "하기 단계로 가서, 수동 파티션 옵션을 선택하고, 크기를 바꿀 파티션을 고른 다" "음, 새 크기를 지정하면 됩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020 #, no-c-format msgid "Pre-Installation Hardware and Operating System Setup" msgstr "설치하기 전에 할 하드웨어 및 운영 체제 설정" #. Tag: para #: preparing.xml:1021 #, no-c-format msgid "" "This section will walk you through pre-installation hardware setup, if any, " "that you will need to do prior to installing &debian;. Generally, this " "involves checking and possibly changing BIOS/UEFI/system firmware settings " "for your system. The BIOS/UEFI or system firmware is the core software used by the hardware; it is most critically " "invoked during the bootstrap process (after power-up)." msgstr "" "이 절에서는 &debian; 설치에 앞서 필요한 하드웨어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일반적으로 이 작업은 BIOS/UEFI/시스템 펌웨어 설정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설정" "을 변경하는 작업입니다. BIOS/UEFI 또는 시스템 펌웨어는 하드웨어가 사용하는 핵심 소프트웨어로, 전원을 켠 다음에 부팅 과정 동" "안에 시작되는 가장 중요한 소프트웨어입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036 #, no-c-format msgid "Invoking the BIOS/UEFI Set-Up Menu" msgstr "BIOS/UEFI 설정 메뉴 들어가기" #. Tag: para #: preparing.xml:1038 #, no-c-format msgid "" "The BIOS/UEFI provides the basic functions needed to boot your machine and " "to allow your operating system to access your hardware. Your system provides " "a BIOS/UEFI setup menu, which is used to configure the BIOS/UEFI. To enter " "the BIOS/UEFI setup menu you have to press a key or key combination after " "turning on the computer. Often it is the Delete or the " "F2 key, but some manufacturers use other keys. Usually upon " "starting the computer there will be a message stating which key to press to " "enter the setup screen." msgstr "" "BIOS/UEFI는 컴퓨터가 부팅하는데 기본적인 기능이 들어 있고, 운영체제에서 하드" "웨어에 접근할 때도 사용합니다. 설치하려는 시스템에도 BIOS/UEFI 설정 메뉴가 있" "어서 거기에서 BIOS/UEFI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BIOS/UEFI 설정 메뉴에 들어가려" "면 컴퓨터를 켠 다음 일정한 키나 키 조합을 눌러야 합니다. 보통 " "DeleteF2 키이지만, 제조사에 따라 다른 키" "일 수도 있습니다. 보통 컴퓨터 부팅할 때 어떤 키를 눌러야 설정 메뉴로 들어가는" "지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052 preparing.xml:1477 #, no-c-format msgid "Boot Device Selection" msgstr "부팅 장치 선택" #. Tag: para #: preparing.xml:1054 #, no-c-format msgid "" "Within the BIOS/UEFI setup menu, you can select which devices shall be " "checked in which sequence for a bootable operating system. Possible choices " "usually include the internal harddisks, the CD/DVD-ROM drive and USB mass " "storage devices such as USB sticks or external USB harddisks. On modern " "systems there is also often a possibility to enable network booting via PXE." msgstr "" "BIOS/UEFI 설정 메뉴 안에서 부팅 가능 운영 체제를 검사하는 저장 장치 순서를 선" "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내장 하드디스크, CD/DVD-ROM 드라이브, USB 저장 장치" "(USB 메모리나 외부 USB 하드 디스크 따위) 같은 장치를 말합니다. 최근 시스템에" "서는 PXE를 통해 네트워크 부팅을 할 수도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062 #, no-c-format msgid ""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media (CD/DVD ROM, USB stick, network boot) " "you have chosen you should enable the appropriate boot devices if they are " "not already enabled." msgstr "" "설치 미디어에 따라서(CD/DVD ROM, USB 메모리, 네트워크 부팅) 필요한 부팅 장치" "를 사용할 수 있게 설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미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 Tag: para #: preparing.xml:1068 #, no-c-format msgid "" "Most BIOS/UEFI versions allow you to call up a boot menu on system startup " "in which you select from which device the computer should start for the " "current session. If this option is available, the BIOS/UEFI usually displays " "a short message like press F12 for boot menu " "on system startup. The actual key used to select this menu varies from " "system to system; commonly used keys are F12, F11 and F8. Choosing a device from this menu does not " "change the default boot order of the BIOS/UEFI, i.e. you can start once from " "a USB stick while having configured the internal harddisk as the normal " "primary boot device." msgstr "" "대부분의 BIOS/UEFI에서는 이 세션에서는 어떤 장치로 부팅할지 선택할 수 있는 부" "팅 메뉴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press " "F12 for boot menu와 같은 짤막한 메시지를 표시합니" "다. 이 메뉴를 선택하는 실제 키는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 "F12, F11, F8을 가장 많이 " "사용합니다. 이 메뉴에서 장치를 선택해도 BIOS/UEFI의 기본 부팅 순서를 바꾸지" "는 않습니다. 다시 말해 내부 하드 디스크가 기본 부팅 장치로 설정된 상태에서도 " "USB 메모리에서 한 번 부팅할 수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082 #, no-c-format msgid "" "If your BIOS/UEFI does not provide you with a boot menu to do ad-hoc choices " "of the current boot device, you will have to change your BIOS/UEFI setup to " "make the device from which the &d-i; shall be booted the primary boot device." msgstr "" "BIOS/UEFI에 현재 부팅 메뉴를 임시로 설정할 수 있는 부팅 메뉴가 없으면, BIOS/" "UEFI 설정을 바꿔서 &d-i;가 부팅할 장치를 기본 부팅 장치로 만들어야 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088 #, no-c-format msgid "" "Unfortunately some computers may contain buggy BIOS/UEFI versions. Booting " "&d-i; from a USB stick might not work even if there is an appropriate option " "in the BIOS/UEFI setup menu and the stick is selected as the primary boot " "device. On some of these systems using a USB stick as boot medium is " "impossible; others can be tricked into booting from the stick by changing " "the device type in the BIOS/UEFI setup from the default USB harddisk or USB stick to USB ZIP or USB " "CDROM. In particular if " "you use an isohybrid installation image on a USB stick (see ), changing the device type to USB CDROM helps on some BIOSes which will not boot from a USB stick in USB " "harddisk mode. You may need to configure your BIOS/UEFI to enable " "USB legacy support." msgstr "" "아쉽게도 일부 컴퓨터의 BIOS/UEFI는 부팅 관련 버그가 있습니다. BIOS/UEFI 설정 " "메뉴에서 필요한 옵션을 넣고, USB 메모리를 부팅 장치로 설정하지 않으면 USB 메" "모리에서 &d-i;가 부팅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 중 일부는 USB 메" "모리로 부팅이 불가능하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 BIOS/UEFI 설정에서 장치 종류를 " "기본 USB harddiskUSB stick에서 USB " "ZIP이나 USB CDROM으로 바꾸는 방법으로 속이면 부팅하기" "도 합니다. isohybrid 설치 이미지를 " "USB 메모리에서 사용하는 경우( 참고), 일" "부 BIOS에서는 장치 종류를 USB CDROM으로 바꾸면 USB 하드디스크 " "모드에서 부팅하지 않는 USB 메모리가 부팅할 수도 있습니다. BIOS/UEFI" "에서 USB legacy support를 설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104 #, no-c-format msgid "" "If you cannot manipulate the BIOS/UEFI to boot directly from a USB stick you " "still have the option of using an ISO copied to the stick. Boot &d-i; using " " and, after scanning the hard drives for " "an installer ISO image, select the USB device and choose an installation " "image." msgstr "" "BIOS/UEFI에서 USB 메모리로 직접 부팅하게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USB 메모리" "에 복사한 ISO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방법" "으로 &d-i;를 시작하고, 설치 ISO 이미지에 대해 하드디스크를 검사한 다음, USB " "장치를 선택해 설치 이미지를 고릅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170 #, no-c-format msgid "How to update bare metal ppc64el firmware" msgstr "초기 상태의 ppc64el 펌웨어 업데이트하는 방법" #. Tag: para #: preparing.xml:1171 #, no-c-format msgid "" "This is an excerpt from IBM PowerKVM on " "IBM POWER8." msgstr "" "IBM PowerKVM on IBM POWER8 페이지" "에 설명이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176 #, no-c-format msgid "" "Open Power Abstraction Layer (OPAL) is the system firmware in the stack of " "POWER processor-based server." msgstr "" "OPAL(Open Power Abstraction Layer)은 POWER 프로세서 기반 서버에서 사용하는 시" "스템 펌웨어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181 #, no-c-format msgid "" "There may be instances when the user might have to upgrade the Power Systems " "firmware to a more recent level to acquire new features or additional " "support for devices." msgstr "" "경우에 따라 Power System 펌웨어를 최근 단계로 업그레이드해야 새로운 기능이나 " "추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187 #, no-c-format msgid "Make sure that the following requirements are met:" msgstr "먼저 다음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192 #, no-c-format msgid "an OS to be running on the system;" msgstr "시스템에서 동작하고 있는 운영 체제." #. Tag: para #: preparing.xml:1194 #, no-c-format msgid "the .img file of the OPAL level that the user needs to update to;" msgstr "사용자가 업데이트해야 하는 OPAL 레벨의 .img 파일." #. Tag: para #: preparing.xml:1196 #, no-c-format msgid "the machine isn't under HMC control." msgstr "시스템이 HMC 컨트롤에 놓이지 않도록." #. Tag: para #: preparing.xml:1200 #, no-c-format msgid "" "Power Systems has two sides of flash to boot firmware from, namely permanent " "and temporary. This provides a way to test firmware updates on the temporary " "side of the flash before committing the tested changes to the permanent " "side, thereby committing the new updates." msgstr "" "Power 시스템은 펌웨어를 부팅하는 플래시가 두 위치가 있습니다. 하나는 영구적" "인 위치이고 하나는 임시 위치입니다. 이를 이용해 펌웨어를 임시 위치에서 테스트" "하고, 그 다음에 테스트한 변경 사항을 영구 위치에 적용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207 #, no-c-format msgid "Perform the following steps for the update:" msgstr "다음 단계를 통해 업데이트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212 #, no-c-format msgid "" "Save the level of the existing firmware before really updating. In ASM, in " "the system menu, click Service Aids -> Service Processor Command " "Line, and run the following command:" msgstr "" "실제 업데이트하기 전에 현재 펌웨어의 단계를 저장합니다. 시스템 메뉴의 ASM에" "서 Service Aids -> Service Processor Command Line를 누" "르고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 Tag: screen #: preparing.xml:1216 #, no-c-format msgid "cupdcmd -f" msgstr "cupdcmd -f" #. Tag: para #: preparing.xml:1217 #, no-c-format msgid "" "Download the .img file of the level of firmware to be updated to a location " "in the host filesystem. Refer to IBM Fix " "Central for downloading the image file." msgstr "" "호스트 파일 시스템의 위치에 업데이트할 레벨의 펌웨어 .img 파일을 다운로드하십" "시오. 이미지 파일 다운로드는 IBM Fix " "Central을 참고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222 #, no-c-format msgid "" "Verify the image downloaded by running the following command and save the " "output." msgstr ""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 다운로드한 실행 이미지를 확인하고 출력을 저장합니다." #. Tag: screen #: preparing.xml:1225 #, no-c-format msgid "$update_flash -v -f <file_name.img>" msgstr "$update_flash -v -f <파일_이름.img>" #. Tag: para #: preparing.xml:1227 #, no-c-format msgid "Update the firmware by running the following command." msgstr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 펌웨어를 업데이트합니다." #. Tag: screen #: preparing.xml:1229 #, no-c-format msgid "$update_flash -f <file_name.img>" msgstr "$update_flash -f <파일_이름.img>" #. Tag: para #: preparing.xml:1235 #, no-c-format msgid "" "The command reboots the system and therefore, sessions if any, would be lost." msgstr "" "이 명령은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므로, 작업 중인 세션이 있으면 중단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238 #, no-c-format msgid "Do not reboot or switch off the system until it is back." msgstr "돌아올 때까지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거나 끄지 마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245 #, no-c-format msgid "" "Verify the updated firmware level of the temporary side of the flash as in " "step 1." msgstr "" "1번 단계와 같은 방법으로 임시 위치의 플래시에 업데이트한 펌웨어 레벨을 확인합" "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248 #, no-c-format msgid "" "In case the update has to be reverted, the user can do so by running this " "command: \n" " $update_flash -r\n" " Rejection would reject only the temporary side " "of the flash. Therefore, the new level should be committed to the permanent " "side only after thorough testing of the new firmware." msgstr "" "업데이트를 되돌리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하면 됩니다: " "\n" " $update_flash -r\n" " 취소는 플래시 임시 위치에서만 할 수 있습니다. 그" "러므로 새로운 레벨의 펌웨어는 충분히 테스트한 뒤에 영구 위치에 적용해야 합니" "다." #. Tag: para #: preparing.xml:1255 #, no-c-format msgid "" "The new updated level can be committed to the permanent side of the flash by " "running the following command." msgstr "" "새로 업데이트한 레벨의 펌웨어는 다음 명령으로 플래시의 영구 위치로 적용할 수 " "있습니다." #. Tag: screen #: preparing.xml:1258 #, no-c-format msgid "$update_flash -c" msgstr "$update_flash -c" #. Tag: title #: preparing.xml:1266 #, no-c-format msgid "Updating KVM guest firmware (SLOF)" msgstr "KVM 게스트 펌웨어 (SLOF) 업데이트하기" #. Tag: para #: preparing.xml:1267 #, no-c-format msgid "" "Slimline Open Firmware (SLOF) is an implementation of the IEEE 1275 " "standard. It can be used as partition firmware for pSeries machines running " "on QEMU or KVM." msgstr "" "SLOF(Slimline Open Firmware)는 IEEE 1275 표준의 구현입니다. QEMU 또는 KVM을 " "실행하는 pSeries 시스템의 파티션 펌웨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274 #, no-c-format msgid "" "The package qemu-slof is, in fact, a dependency of package qemu-system-ppc " "(which also provides the virtual package qemu-system-ppc64), and can be " "installed or updated via apt tool on Debian-based " "distros. Like so: \n" "# apt install qemu-slof\n" " SLOF can also be installed into rpm-based " "distribution systems, given the proper repository or rpm package. " "Additionally, the upstream source code is available at ." msgstr "" "qemu-slof 패키지는 사실 qemu-system-ppc 패키지(qemu-system-ppc64 가상 패키지" "도 제공)의 의존성 패키지로, 데비안 기반 배포판에서 apt 명" "령을 사용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n" "# apt install qemu-slof\n" " SLOF는 RPM 기반 배포판에서도 적절한 패키지 저장소" "와 RPM 패키지만 있으면 설치할 수 있습니다. 또 업스트림 소스 코드도 위치에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289 #, no-c-format msgid "" "Thus, one can use a different SLOF file rather than the default, when " "running qemu-system, by adding the command line argument " "-bios <slof_file> when starting qemu." msgstr "" "qemu-system의 경우, qemu 시작할 때 -bios <" "slof_file> 명령행 옵션을 추가해 기본값이 아닌 다른 SLOF 파일" "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299 #, no-c-format msgid "Updating PowerKVM hypervisor" msgstr "PowerKVM 하이퍼바이저 업데이트" #. Tag: title #: preparing.xml:1300 #, no-c-format msgid "Instructions for Netboot installation" msgstr "네트워크 부팅 설치 안내" #. Tag: para #: preparing.xml:1301 #, no-c-format msgid "" "You will need a DHCP/TFTP (BOOTP) server, as well as a web server. After " "downloading ibm-powerkvm-*-ppc64-service-*.iso, mount loop it and unpack it " "into some directory within your HTTP server www root structure (say " "wwwroot): \n" "# cd <directory-where-the-iso-is>\n" "# mkdir ./iso\n" "# sudo mount -o loop ibm-powerkvm-*-ppc64-service-*.iso ./iso\n" "# cp -a ./iso/* <path-to-wwwroot>\n" " Create the petitboot.conf file in a directory " "under your tftproot, say /tftproot/powerkvm, with the following contents: " "\n" "label PowerKVM Automated Install\n" "kernel http://YOUR-SERVER-IP/SOME-PATH-TO-wwwroot/ppc/ppc64/vmlinuz\n" "initrd http://YOUR-SERVER-IP/SOME-PATH-TO-wwwroot/ppc/ppc64/initrd.img\n" "append root=live:http://YOUR-SERVER-IP/SOME-PATH-TO-wwwroot/LiveOS/squashfs." "img repo=http://YOUR-SERVER-IP/SOME-PATH-TO-wwwroot/packages rd.dm=0 rd.md=0 " "console=hvc0 console=tty0\n" " Editing your dhcpd.conf, set this directive at " "the beginning: \n" "option conf-file code 209 = text;\n" " Add the system directive: " "\n" "host <your-system> {\n" " hardware ethernet <system macaddr>\n" " fixed-address <system ip>;\n" " option host-name \"<system hostname>\";\n" " option conf-file \"<powerkvm/petitboot.conf>\";\n" " }\n" " Reboot the dhcp server." msgstr "" "웹 서버와 DHCP/TFTP(BOOTP) 서버가 필요합니다. ibm-powerkvm-*-ppc64-service-*." "iso 파일을 다운로드한 다음, 루프백으로 마운트해 이미지의 내용을 HTTP 서버의 " "www 최상위에 (아래에서 wwwroot라고 합니다) 놓습니다: " "\n" "# cd <directory-where-the-iso-is>\n" "# mkdir ./iso\n" "# sudo mount -o loop ibm-powerkvm-*-ppc64-service-*.iso ./iso\n" "# cp -a ./iso/* <wwwroot-경로>\n" " tftproot 아래 디렉터리에 petiboot.conf 파일을 만" "듭니다. /tftproot/powerkvm이라고 하고, 다음 내용을 넣습니다: " "\n" "label PowerKVM Automated Install\n" "kernel http://내-서버-IP/wwwroot-경로/ppc/ppc64/vmlinuz\n" "initrd http://내-서버-IP/wwwroot-경로/ppc/ppc64/initrd.img\n" "append root=live:http://서버-IP/wwwroot-경로/LiveOS/squashfs.img repo=http://" "내-서버-IP/wwwroot-경로/packages rd.dm=0 rd.md=0 console=hvc0 console=tty0\n" " dhcp.conf 파일을 편집해 맨 앞에 이 지시어를 넣습" "니다: \n" "option conf-file code 209 = text;\n" " 시스템 지시어를 추가합니다: " "\n" "host <내-시스템> {\n" " hardware ethernet <시스템 MAC주소>\n" " fixed-address <시스템 IP>;\n" " option host-name \"<시스템 호스트이름>\";\n" " option conf-file \"<powerkvm/petitboot.conf>\";\n" " }\n" " DHCP 서버를 다시 시작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325 #, no-c-format msgid "Boot your PowerLinux machine." msgstr "PowerLine 시스템을 부팅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329 #, no-c-format msgid "" "There should be the following option at petitboot (select it): " "\n" "\"Power KVM Automated Install\" \n" " The installer menu should appear automatically." msgstr "" "petitboot에 다음 옵션을 써야 (선택) 합니다: \n" "\"Power KVM Automated Install\" \n" " 설치 프로그램 메뉴가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340 #, no-c-format msgid "Instructions for DVD" msgstr "DVD 안내" #. Tag: para #: preparing.xml:1341 #, no-c-format msgid "" "Boot the ISO ibm-powerkvm-*-ppc64-service-*.iso (either burn a DVD or make " "it virtual if using QEMU) and simply wait for the boot." msgstr "" "ibm-powerkvm-*-ppc64-service-*.iso ISO로 (DVD를 만들거나 QEMU의 경우 가상 드" "랄이브를 통해) 부팅하고 부팅을 기다립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344 #, no-c-format msgid "" "There should be the following option at petitboot (select it): " "\n" "\"POWERKVM_LIVECD\" \n" " The installer menu should appear automatically." msgstr "" "petitboot에 다음 옵션을 써야 (선택) 합니다: \n" "\"POWERKVM_LIVECD\" \n" " 설치 프로그램 메뉴가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365 #, no-c-format msgid "BIOS Setup" msgstr "BIOS 설정" # &debian-gnu; => 데비안 GNU/리눅스, 조사 사용 주의 #. Tag: para #: preparing.xml:1366 #, no-c-format msgid "" "In order to install &debian-gnu; on a &arch-title; or zSeries machine you " "have first boot a kernel into the system. The boot mechanism of this " "platform is inherently different to other ones, especially from PC-like " "systems, and you will notice a big difference while you work with this " "platform: most (if not all) of the time you will work remote, with the help " "of some client session software like telnet, or a browser. This is due to " "that special system architecture where the 3215/3270 console is line-based " "instead of character-based." msgstr "" "&debian-gnu;를 &arch-title; 혹은 zSeries 컴퓨터에 설치하려면 먼저 커널을 부팅" "합니다. 이 플랫폼의 부팅 방법은 다른 플랫폼과는(특히 PC 시스템과는) 완전히 다" "릅니다. 이 플랫폼으로 작업할 때 다른 큰 차이점도 하나 있는데, 대부분(항상 그" "렇지는 않더라도) 원격에서 telnet이나 브라우저같은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이" "용해 작업합니다. 특별한 아키텍처 때문인데 여기서 3215/3270 콘솔은 문자 단위" "가 아니라 라인 단위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378 #, no-c-format msgid "" "Linux on this platform runs either natively on the bare machine, in a so-" "called LPAR (Logical Partition) or in a virtual machine supplied by the VM " "system. Boot media differs depending on the runtime mode. For example, you " "can use the virtual card reader of a virtual machine, or boot from the HMC " "(Hardware Management Console) of an LPAR if the HMC and this option is " "available for you." msgstr "" "이 플랫폼의 리눅스는 LPAR(Logical Partition)이라고 하는 원래의 컴퓨터에서 동" "작할 수도 있고, VM 시스템의 가상 머신에서 동작할 수도 있습니다. 부팅 미디어" "는 런타임 모드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서, 가상 머신의 경우 가상 카드 리더" "를 사용할 수도 있고, LPAR에서는 HMC(Hardware Management Console)에서 부팅할 " "수도 있습니다. (HMC가 있고 부팅 옵션이 있는 경우.)" #. Tag: para #: preparing.xml:1387 #, no-c-format msgid "" "Before you actually perform an installation, you have to go over some design " "and preparation steps. IBM has made documentation available about the whole " "process, e.g. how to prepare an installation medium and how actually to boot " "from that medium. Duplicating that information here is neither possible nor " "necessary. However, we will describe here which kind of &debian;-specific " "data is needed and where to find it. Using both sources of information, you " "have to prepare your machine and the installation medium before you can " "perform a boot from it. When you see the welcome message in your client " "session, return to this document to go through the &debian;-specific " "installation steps." msgstr "" "실제로 설치를하기 전에 설계하고 준비하는 단계를 몇 가지 취해야 합니다. 전체 " "단계, 예를 들어 설치 미디어를 준비하고 그 미디어의 실제 시작 등은 IBM에서 문" "서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그 정보를 반복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불필요합니" "다. 그러나 필요한 &debian; 특유의 정보, 그리고 그 데이터 위치는 여기에서 언급"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 자료를 바탕으로 컴퓨터와 설치 미디어를 시작하기 전" "에 준비하십시오. 클라이언트 세션에서 welcome 메시지를 보면, 이 문서로 돌아가 " "&debian; 설치 단계를 진행하십시오." #. Tag: title #: preparing.xml:1404 #, no-c-format msgid "Native and LPAR installations" msgstr "네이티브 및 LPAR 설치" #. Tag: para #: preparing.xml:1405 #, no-c-format msgid "" "Please refer to chapter 5 of the Linux for &arch-title; Redbook " "and chapter 3.2 of the Linux for IBM eServer zSeries and &arch-title;: " "Distributions Redbook on how to set up an LPAR for Linux." msgstr "" "리눅스용으로 LPAR을 설정하는 방법은 Linux for &arch-title; 레드북의 5" "장과 Linux for IBM eServer zSeries and &arch-title;: Distributions 레" "드북의 3.2장을 참고하십시오." #. Tag: title #: preparing.xml:1419 #, no-c-format msgid "Installation as a VM guest" msgstr "VM guest로 설치" #. Tag: para #: preparing.xml:1421 #, no-c-format msgid "" "Please refer to chapter 6 of the Linux for &arch-title; Redbook " "and chapter 3.1 of the Linux for IBM eServer zSeries and &arch-title;: " "Distributions Redbook on how to set up a VM guest for running Linux." msgstr "" "VM guest를 설정해 리눅스를 실행하는 방법은 Linux for &arch-title; 레" "드북의 6장과 Linux for IBM eServer zSeries and &arch-title;: " "Distributions 레드북의 3.1장을 참고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431 #, no-c-format msgid "" "You need to copy all the files from the generic sub-" "directory to your CMS disk. Be sure to transfer kernel.debian and initrd.debian in binary mode with a fixed " "record length of 80 characters (by specifying BINARY " "and LOCSITE FIX 80 in your FTP client). " "parmfile.debian can be in either ASCII or EBCDIC " "format. A sample debian.exec script, which will punch " "the files in the proper order, is included with the images." msgstr "" "모든 파일을 generic 서브 디렉터리에서 CMS 디스크에 복사" "해야 합니다. kernel.debianinitrd.debian은 반드시 고정 레코드 길이를 80 문자로 바이너리 모드로 전송하십시오" "(FTP 클라이언트에서 BINARYLOCSITE FIX " "80 지정). parmfile.debian은 ASCII 형식 또는 " "EBCDIC 형식으로 괜찮습니다. 파일을 올바르게 배치하는 debian.exec 예제 스크립트가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448 #, no-c-format msgid "Setting up an installation server" msgstr "설치 서버 준비하기" #. Tag: para #: preparing.xml:1450 #, no-c-format msgid "" "If you don't have a connection to the Internet (either directly or via a web " "proxy) you need to create a local installation server that can be accessed " "from your S/390. This server keeps all the packages you want to install and " "must make them available using NFS, HTTP or FTP." msgstr "" "(직접 혹은 웹 프록시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는다면 S/390에서 접근할 수 " "있는 로컬 설치 서버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 서버에는 설치하려는 모든 패키지가 " "들어 있고 그 패키지를 NFS나 HTTP나 FTP로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458 #, no-c-format msgid "" "The installation server needs to copy the exact directory structure from any " "&debian-gnu; mirror, but only the S/390 and architecture-independent files " "are required. You can also copy the contents of all installation images into " "such a directory tree." msgstr "" "설치 서버에는 &debian-gnu; 미러에서 디렉터리 구조를 정확히 복사해 놓아야 합니" "다. S/390 아키텍처용 파일 및 아키텍처 공용 파일만 필요합니다. 그 디렉터리에" "서 설치 이미지의 내용만 복사해 올 수도 있습니다." #. Tag: emphasis #: preparing.xml:1467 #, no-c-format msgid "FIXME: more information needed — from a Redbook?" msgstr "FIXME: more information needed — from a Redbook?" #. Tag: title #: preparing.xml:1484 #, no-c-format msgid "ARM firmware" msgstr "ARM 펌웨어" #. Tag: para #: preparing.xml:1486 #, no-c-format msgid "" "As already mentioned before, there is unfortunately no standard for system " "firmware on ARM systems. Even the behaviour of different systems which use " "nominally the same firmware can be quite different. This results from the " "fact that a large part of the devices using the ARM architecture are " "embedded systems, for which the manufacturers usually build heavily " "customized firmware versions and include device-specific patches. " "Unfortunately the manufacturers often do not submit their changes and " "extensions back to the mainline firmware developers, so their changes are " "not integrated into newer versions of the original firmware." msgstr "" "앞에서도 말했듯이, ARM 시스템에서는 아쉽게도 시스템 펌웨어의 표준이 없습니" "다. 같은 펌웨어를 사용하는 다른 시스템도 동작이 아주 다릅니다. 이는 ARM 아키" "텍쳐를 사용하는 하드웨어의 상당 부분이 임베디드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임베디" "드 시스템에서는 제조사가 특별히 수정된 버전의 펌웨어를 빌드하고 이 펌웨어에" "는 하드웨어 전용 패치가 들어 있습니다. 아쉽게도 이 제조사는 수정 사항이나 확" "장한 기능을 상위의 펌웨어 개발자에게 전달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수정 사항이 " "새 버전의 원래 펌웨어에서는 빠지게 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498 #, no-c-format msgid "" "As a result even newly sold systems often use a firmware that is based on a " "years-old manufacturer-modified version of a firmware whose mainline " "codebase has evolved a lot further in the meantime and offers additional " "features or shows different behaviour in certain aspects. In addition to " "that, the naming of onboard devices is not consistent between different " "manufacturer-modified versions of the same firmware, therefore it is nearly " "impossible to provide usable product-independend instructions for ARM-based " "systems." msgstr "" "결과적으로 새로 판매되는 시스템에서도 수년이 지나도 제조사 버전의 수정된 펌웨" "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동안 상위 메인라인의 코드는 엄청나게 발전해서 추가 "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고 동작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또 같은 펌웨어의 제조사 " "수정 버전이 달라져도 하드웨어의 장치 이름이 일관적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ARM" "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제품과 무관한 설치 안내를 하기가 불가능합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511 #, no-c-format msgid "Debian-provided U-Boot (system firmware) images" msgstr "데비안 공급 U-Boot (시스템 펌웨어) 이미지" #. Tag: para #: preparing.xml:1512 #, no-c-format msgid "" "Debian provides U-Boot images for various armhf systems that can load their " "U-Boot from an SD card at &armmp-uboot-img;. The U-Boot builds are offered " "in two formats: raw U-Boot components and a ready-made card image that can " "easily be written onto an SD card. The raw U-Boot components are provided " "for advanced users; the generally recommended way is to use one of the ready-" "made SD card images. They are named <system-type>.sdcard.img.gz and " "can be written to a card e.g. with zcat <system-" "type>.sdcard.img.gz > /dev/SD_CARD_DEVICE " "As with all images, please be aware that writing the image to an SD card " "wipes all previous contents of the card!" msgstr "" "데비안에서 여러가지 armhf 시스템에서 SD 카드에서 U-Boot를 읽어들일 수 있는 U-" "Boot 이미지를 &armmp-uboot-img; 위치에 제공합니다. U-Boot 빌드는 2가지 형식으" "로 제공됩니다: 하나는 가공되지 않은 형식의 U-Boot 구성 요소는 또 하나는 SD 카" "드에 간단히 쓸 수 있는 카드 이미지 파일입니다. 가공되지 않은 U-Boot 구성요소" "는 고급 사용자용입니다. 추천하는 방법은 SD 카드 이미지 사용입니다. SD 카드 이" "미지 파일은 <시스템-종류>.sdcard.img.gz 파일로 SD 카드에 다음과 같은 명" "령으로 쓸 수 있습니다: zcat <시스템-종류>." "sdcard.img.gz > /dev/SD_카드_장치 어떤 이미지이" "든, 이미지를 SD 카드에 쓰면 카드의 이전 내용을 모두 엎어쓰니 주의하십시오!" #. Tag: para #: preparing.xml:1527 #, no-c-format msgid "" "If Debian provides a U-Boot image for your system, it is recommended that " "you use this image instead of the vendor-provided U-Boot, as the version in " "Debian is usually newer and has more features." msgstr "" "데비안에서 시스템에 맞는 U-Boot 이미지를 제공하는 경우, 판매 회사가 제공하는 " "U-Boot 대신 그 이미지를 사용하기를 추천합니다. 데비안에 들어 있는 버전이 보" "통 더 최신으로 더 많은 기능이 들어 있습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535 #, no-c-format msgid "Setting the ethernet MAC address in U-Boot" msgstr "U-Boot에서 이더넷 MAC 주소 설정하기" #. Tag: para #: preparing.xml:1536 #, no-c-format msgid "" "The MAC address of every ethernet interface should normally be globally " "unique, and it technically has to be unique within its ethernet broadcast " "domain. To achieve this, the manufacturer usually allocates a block of MAC " "addresses from a centrally-administered pool (for which a fee has to be " "paid) and preconfigures one of these addresses on each item sold." msgstr "" "모든 이더넷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는 보통은 전세계에서 유일해야 합니다. 그리" "고 기술적으로도 이더넷 브로드캐스트 범위 안에서는 주소가 유일해야 합니다. 이" "렇게 유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앙에서 관리하는 모음에서 제조사마다 일정한 블" "럭의 MAC 주소 묶음을 배정받습니다. (그리고 일정한 사용료를 냅니다.) 그 다음" "에 판매하는 제품마다 주소를 하나씩 부여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544 #, no-c-format msgid "" "In the case of development boards, sometimes the manufacturer wants to avoid " "paying these fees and therefore provides no globally unique addresses. In " "these cases the users themselves have to define MAC addresses for their " "systems. When no MAC address is defined for an ethernet interface, some " "network drivers generate a random MAC address that can change on every boot, " "and if this happens, network access would be possible even when the user has " "not manually set an address, but e.g. assigning semi-static IP addresses by " "DHCP based on the MAC address of the requesting client would obviously not " "work reliably." msgstr "" "개발 보드의 경우에는, 제조사에서 이 사용료를 내지 않으려 하기도 해서 유일한 " "주소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직접 MAC 주소를 설정해야 합니다. " "이더넷 인터페이스에 MAC 주소가 지정되어 있지 않았을 때, 일부 드라이버는 부팅" "할 때마다 임의의 MAC 주소를 생성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동작하는 경우 수동으로 " "주소를 지정하지 않아도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를 들어 DHCP " "서버가 클라이언트 MAC 주소에 따라 일정한 IP 주소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제대로 " "동작하지 않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555 #, no-c-format msgid "" "To avoid conflicts with existing officially-assigned MAC addresses, there is " "an address pool which is reserved for so-called locally administered addresses. It is defined by the value of two specific bits in the " "first byte of the address (the article MAC address in the " "English language Wikipedia gives a good explanation). In practice this means " "that e.g. any address starting with hexadecimal ca (such as ca:ff:" "ee:12:34:56) can be used as a locally administered address." msgstr "" "공식적으로 배정된 MAC 주소와 충돌을 피하려면 사설(locally " "administered) 주소로 예약된 주소가 있습니다. 이 주소는 주소의 첫 바이" "트에서 두 비트로 정의됩니다. (영문 위키백과의 MAC address 글" "에 잘 설며오디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6진수 \"ca\"로 시작하는 모든 주소는" "(예를 들어 ca:ff:ee:12:34:56) 사설 주소입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565 #, no-c-format msgid "" "On systems using U-Boot as system firmware, the ethernet MAC address is " "placed in the ethaddr environment variable. It can be checked " "at the U-Boot command prompt with the command printenv ethaddr and can be set with the command setenv ethaddr ca:ff:" "ee:12:34:56. After setting the value, the command saveenv makes the assignment permanent." msgstr "" "U-Boot를 시스템 펌웨어로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이더넷 MAC 주소를 " "ethaddr 환경 변수에 저장합니다. 이 값은 U-Boot 명령 프롬프트에" "서 printenv ethaddr 명령으로 확인해 볼 수 있고, setenv " "ethaddr ca:ff:ee:12:34:56 명령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값을 설정하" "면 saveenv 명령으로 값을 저장합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576 #, no-c-format msgid "Kernel/Initrd/Device-Tree relocation issues in U-Boot" msgstr "U-Boot의 커널/최초 램디스크/디바이스 트리 재배치 문제" #. Tag: para #: preparing.xml:1577 #, no-c-format msgid "" "On some systems with older U-Boot versions there can be problems with " "properly relocating the Linux kernel, the initial ramdisk and the device-" "tree blob in memory during the boot process. In this case, U-Boot shows the " "message Starting kernel ..., but the system freezes " "afterwards without further output. These issues have been solved with newer " "U-Boot versions from v2014.07 onwards." msgstr "" "예전 버전의 U-Boot를 사용하는 일부 시스템에서는, 부팅 과정에서 메모리에 있는 " "리눅스 커널, 최초 램디스크, 디바이스 트리를 재배치할 때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 "니다. 이 경우 U-Boot에서 Starting kernel ... 메시지를 표시히지" "만, 그 뒤에 출력이 없이 시스템이 멈춰 있습니다. 이 문제는 U-Boot v2014.07 버" "전 이후로 해결되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586 #, no-c-format msgid "" "If the system has originally used a U-Boot version older than v2014.07 and " "has been upgraded to a newer version later, the problem might still occur " "even after upgrading U-Boot. Upgrading U-Boot usually does not modify the " "existing U-Boot environment variables and the fix requires an additional " "environment variable (bootm_size) to be set, which U-Boot does automatically " "only on fresh installations without existing environment data. It is " "possible to manually set bootm_size to the new U-Boot's default value by " "running the command env default bootm_size; saveenv at the U-" "Boot prompt." msgstr "" "만약 시스템에서 v2014.07보다 오래 된 U-Boot 버전을 사용하고 나중에 그보다 나" "중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했다면, U-Boot 업그레이드 후에도 문제가 계속 발생할 수 " "있습니다. U-Boot를 업그레이드해도 현재 U-Boot 환경 변수를 수정하지는 않고, 추" "가 환경 변수를(bootm_size) 설정해야 합니다. U-Boot는 환경 변수 데이터가 없이 " "새로 설치할 경우에만 자동으로 이 환경 변수를 설정합니다. U-Boot 프롬프트에서 " "env default bootm_size; saveenv 명령으로 bootm_size 환경 변수" "를 U-Boot의 기본값으로 수동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597 #, no-c-format msgid "" "Another possibility to circumvent relocation-related problems is to run the " "command setenv fdt_high ffffffff; setenv initrd_high 0xffffffff; " "saveenv at the U-Boot prompt to completely disable the relocation of " "the initial ramdisk and the device-tree blob." msgstr "" "재배치와 관련된 문제를 피해가는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은 setenv fdt_high " "ffffffff; setenv initrd_high 0xffffffff; saveenv 명령을 U-Boot 프롬" "프트에서 실행해서 최초 램디스크와 디바이스 트리 파일의 재배치를 완전히 막는 " "방법입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607 #, no-c-format msgid "Systems with UEFI firmware" msgstr "UEFI 펌웨어 시스템" #. Tag: para #: preparing.xml:1608 #, no-c-format msgid "" "UEFI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is a new kind of " "system firmware that is used on many modern systems and is - among other " "uses - intended to replace the classic PC BIOS." msgstr ""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는 현대적인 시스템" "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펌웨어의 한 종류입니다. 특히 고전적인 PC BIOS를 대체할 "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614 #, no-c-format msgid "" "Currently most PC systems that use UEFI also have a so-called " "Compatibility Support Module (CSM) in the firmware, which " "provides exactly the same interfaces to an operating system as a classic PC " "BIOS, so that software written for the classic PC BIOS can be used " "unchanged. Nonetheless UEFI is intended to one day completely replace the " "old PC BIOS without being fully backwards-compatible and there are already a " "lot of systems with UEFI but without CSM." msgstr "" "현재 UEFI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PC 시스템은 펌웨어에 CSM(Compatibility " "Support Module)이라고 하는 것이 들어 있습니다. CSM은 고전적인 PC BIOS" "와 완전히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입니다. 즉 고전적인 PC BIOS용으로 "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수정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UEFI는 언젠가는 호환" "성 지원 없이 PC BIOS를 완전히 대체할 예정이고, 이미 CSM이 없는 UEFI 시스템도 " "있습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624 #, no-c-format msgid "" "On systems with UEFI there are a few things to take into consideration when " "installing an operating system. The way the firmware loads an operating " "system is fundamentally different between the classic BIOS (or UEFI in CSM " "mode) and native UEFI. One major difference is the way the harddisk " "partitions are recorded on the harddisk. While the classic BIOS and UEFI in " "CSM mode use a DOS partition table, native UEFI uses a different " "partitioning scheme called GUID Partition Table (GPT). On a " "single disk, for all practical purposes only one of the two can be used and " "in case of a multi-boot setup with different operating systems on one disk, " "all of them must therefore use the same type of partition table. Booting " "from a disk with GPT is only possible in native UEFI mode, but using GPT " "becomes more and more common as hard disk sizes grow, because the classic " "DOS partition table cannot address disks larger than about 2 Terabytes while " "GPT allows for far larger disks. The other major difference between BIOS (or " "UEFI in CSM mode) and native UEFI is the location where boot code is stored " "and in which format it has to be. This means that different bootloaders are " "needed for each system." msgstr "" "UEFI 시스템에서는 운영 체제를 설치할 때 고려할 점이 몇 가지 있습니다. UEFI에" "서는 펌웨어에서 운영 체제를 읽어들이는 방법이 전통적인 BIOS(또는 CSM 모드를 " "사용하는 UEFI)와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큰 차이점은 하드 디스크 파티션을 하" "드 디스크에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전통적인 BIOS와 CSM 모드의 UEFI는 DOS 파티" "션 테이블을 사용하지만, 네이티브 UEFI는 GUID 파티션 테이블(GPT)이라는 다른 파티션 방식을 사용합니다. 1개의 디스크에서는 이 두 가" "지 형식 중에 하나만 사용할 수 있고, 한 디스크에 여러가지 운영 체제를 사용하" "는 멀티 부팅의 경우는 모든 운영 체제가 같은 파티션 종류의 테이블을 사용해야 " "합니다. GPT를 사용한 디스크에서 부팅하려면 UEFI 모드에서만 가능합니다. 하지" "만 하드 디스크 크기가 늘어날 수록 GPT 사용이 더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 "DOS 파티션은 2테라바이트가 넘어가는 섹터 주소를 처리할 수 없지만, GPT는 훨씬 " "더 큰 디스크도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BIOS(또는 CSM모드 UEFI)와 네티이브 UEFI" "의 또 다른 주요 차이점은 부팅 코드를 읽어들이는 위치와 그 형식입니다. 즉 이 " "두 시스템은 다른 종류의 부트로더가 필요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644 #, no-c-format msgid "" "The latter becomes important when booting &d-i; on a UEFI system with CSM " "because &d-i; checks whether it was started on a BIOS- or on a native UEFI " "system and installs the corresponding bootloader. Normally this simply works " "but there can be a problem in multi-boot environments. On some UEFI systems " "with CSM the default boot mode for removable devices can be different from " "what is actually used when booting from hard disk, so when booting the " "installer from a USB stick in a different mode from what is used when " "booting another already installed operating system from the hard disk, the " "wrong bootloader might be installed and the system might be unbootable after " "finishing the installation. When choosing the boot device from a firmware " "boot menu, some systems offer two separate choices for each device, so that " "the user can select whether booting shall happen in CSM or in native UEFI " "mode." msgstr "" "후자는 CSM 모드 UEFI 시스템에서 &d-i; 부팅할 때 중요합니다. &d-i;에서 BIOS에" "서 시작했는지 네이티브 UEFI 시스템에서 부팅했는지 검사해서 해당하는 부트로더" "를 설치하기 때문입니다. 통 잘 동작하지만, 멀티 부팅 환경에서는 문제가 될 수 " "있습니다. 일부 CSM이 있느 UEFI 시스템에서는 이동식 장치의 부팅 모드가 하드 디" "스크 부팅과 다르면, USB 메모리의 설치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에 설치하는 운영 " "체제의 부팅 모드와 다른 모드로 부팅해서 잘못된 부트로더를 설치하고, 설치를 마" "친 다음에 시스템이 부팅 불가능 상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 펌웨어 부팅 메뉴에서 " "부팅 장치를 선택할 때 시스템에 따라서는 장치마다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도 있어서, 사용자가 CSM 모드나 네이티브 EFI 모드 중의 하나를 선택해서 부팅할 " "수도 있습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663 #, no-c-format msgid "Secure boot" msgstr "보안 부팅" #. Tag: para #: preparing.xml:1664 #, no-c-format msgid "" "Another UEFI-related topic is the so-called secure boot " "mechanism. Secure boot means a function of UEFI implementations that allows " "the firmware to only load and execute code that is cryptographically signed " "with certain keys and thereby blocking any (potentially malicious) boot code " "that is unsigned or signed with unknown keys. In practice the only key " "accepted by default on most UEFI systems with secure boot is a key from " "Microsoft used for signing the Windows bootloader. Debian includes a " "shim bootloader signed by Microsoft, so should work correctly " "on systems with secure boot enabled." msgstr "" "또 다른 UEFI 관련 문제는 보안 부팅(secure boot)이라고 하는 방" "식입니다. 보안 부팅은 UEFI의 한 가지 기능으로 특정 키로 디지털 서명된 코드만 " "읽어들이고 실행하고, 사인이 없거나 알 수 없는 키로 서명된 (아마도 악의적인) " "코드를 막는 기능입니다. 실제로는 보안 부팅 기능이 있는 대부분의 UEFI 시스템" "은 기본값으로, 마이크로소프트가 마이크로소프트 부트로더를 서명할 때 사용하는 " "키만 허용합니다. 데바안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서명한 shim 부트" "로더가 들어 있으므로, 보안 부팅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도 올바르게 동작합니다." # 한국어 윈도우에서는 윈도우 8/10에서 모두 "빠른 시작" #. Tag: title #: preparing.xml:1679 #, no-c-format msgid "" "Disabling the Windows fast boot/fast startup " "feature" msgstr "윈도우 빠른 시작 기능 끄기" # 한국어 윈도우에서는 윈도우 8/10에서 모두 "빠른 시작" #. Tag: para #: preparing.xml:1680 #, no-c-format msgid "" "Windows offers a feature (called fast boot in Windows 8, " "fast startup in Windows 10) to cut down system startup time. " "Technically, when this feature is enabled, Windows does not do a real " "shutdown and a real cold boot afterwards when ordered to shut down, but " "instead does something resembling a partial suspend to disk to reduce the " "boot time. As long as Windows is the only operating system on " "the machine, this is unproblematic, but it can result in problems and data " "loss, when you have a dual boot setup, in which another operating system " "accesses the same filesystems as Windows does. In that case the real state " "of the filesystem can be different from what Windows believes it to be after " "the boot and this could cause filesystem corruption upon " "further write accesses to the filesystem. Therefore in a dual boot setup, to " "avoid filesystem corruption the fast boot/fast " "startup feature has to be disabled within Windows." msgstr "" "윈도우에는 시스템 시작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빠른 시작이라는 " "기능이 있습니다. 기술적으로 말하면,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윈도우는 컴퓨터를 " "끌 때 실제 셧다운과 콜드 부팅을 하지 않고, 일부분을 디스크에 저장하는 최대 절" "전 기능과 비슷한 일을 해서 부팅 시간을 줄입니다. 윈도우가 컴퓨" "터의 유일한 운영 체제라면 이런 식의 동작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른 " "운영 체제와 윈도우가 이중 부팅해서 같은 파일 시스템에 접근한다면 문제가 되고 "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파일 시스템의 상태가 부팅한 후의 윈도우가 생각하는 상태와 달라서 파일 시스템에 다시 쓰기를 할 경" "우 파일 시스템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중 부팅에서는 파일 시" "스템 소상을 막기 위해 빠른 시작 기능을 윈도우에서 꺼야 합니다." #. Tag: para #: preparing.xml:1697 #, no-c-format msgid "" "Furthermore, the Windows Update mechanism has (sometimes) been known to " "automatically re-enable this feature, after it has been previously disabled " "by the user. It is suggested to re-check this setting periodically." msgstr "" "게다가, 이 기능을 사용자가 껐다고 해도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면 가끔씩 자동으" "로 다시 켜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이 설정을 확인하기를 권합니" "다." #. Tag: para #: preparing.xml:1702 #, no-c-format msgid "" "It may also be necessary to disable fast boot to even allow " "access to UEFI setup to choose to boot another operating system or &d-i;. On " "some UEFI systems, the firmware will reduce boot time by not " "initialising the keyboard controller or USB hardware; in these cases, it is " "necessary to boot into Windows and disable this feature to allow for a " "change of boot order." msgstr "" "또 빠른 시작를 반드시 꺼야 UEFI 셋업이나 다른 운영 체제 또는 " "&d-i;를 실행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부 UEFI 시스템에서는 키보드나 USB " "하드웨어 초기화를 건너 뛰어서 부팅 시간을 줄입니다. 이러한 경" "우 윈도우로 부팅해서 빠른 시작 기능을 꺼야 부팅 순서를 바꿀 수 있습니다." #. Tag: title #: preparing.xml:1714 #, no-c-format msgid "Hardware Issues to Watch Out For" msgstr "주의해야 할 하드웨어 문제" #. Tag: title #: preparing.xml:1717 #, no-c-format msgid "USB BIOS support and keyboards" msgstr "USB BIOS 지원 및 키보드" #. Tag: para #: preparing.xml:1718 #, no-c-format msgid "" "If you have no PS/2-style keyboard, but only a USB model, on some very old " "PCs you may need to enable legacy keyboard emulation in your BIOS setup to " "be able to use your keyboard in the bootloader menu, but this is not an " "issue for modern systems. If your keyboard does not work in the bootloader " "menu, consult your mainboard manual and look in the BIOS for Legacy " "keyboard emulation or USB keyboard support options." msgstr "" "PS/2 방식 키보드가 없고 USB 키보드만 있는 경우 이 키보드를 부트로더 메뉴에서 " "사용하려면, BIOS 설정에서 레거시 키보드 에뮬레이션 기능을 켜야 할 수도 있습" "니다. 하지만 최근의 시스템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키보드가 부트로더 메뉴" "에서 동작하지 않으면, 메인보드 설명서를 참고해 BIOS에서 Legacy " "keyboard emulation 또는 USB keyboard support 옵션을 찾" "아 보십시오." # 번역문이 없는 문서이므로, 원문 제목 그대로 쓴다 #~ msgid "Linux for SPARC Processors FAQ" #~ msgstr "Linux for SPARC Processors FAQ" #~ msgid "Any OldWorld or NewWorld PowerPC can serve well as a desktop system." #~ msgstr "" #~ "모든 올드월드 혹은 뉴월드 PowerPC는 데스크톱 시스템으로 쓸 수 있습니다." #~ msgid "FIXME: write about HP-UX disks?" #~ msgstr "FIXME: write about HP-UX disks?" #~ msgid "" #~ "Creating and deleting partitions can be done from within &d-i; as well as " #~ "from an existing operating system. As a rule of thumb, partitions should " #~ "be created by the system for which they are to be used, i.e. partitions " #~ "to be used by &debian-gnu; should be created from within &d-i; and " #~ "partitions to be used from another operating system should be created " #~ "from there. &d-i; is capable of creating non-&arch-kernel; partitions, " #~ "and partitions created this way usually work without problems when used " #~ "in other operating systems, but there are a few rare corner cases in " #~ "which this could cause problems, so if you want to be sure, use the " #~ "native partitioning tools to create partitions for use by other operating " #~ "systems." #~ msgstr "" #~ "&d-i;에서 파티션을 만들고 삭제하는 일은 &d-i;에서도 할 수 있고 기존 운영 " #~ "체제에서도 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지켜야 할 규칙은, 해당 파티션을 사용하" #~ "는 시스템에서 파티션을 만들도록 하십시오. 예를 들어 &debian-gnu;에서 사용" #~ "할 파티션은 &d-i; 안에서 만들고, 다른 운영 체제에서 사용할 파티션은 그 운" #~ "영 체제 안에서 만듭니다. &d-i;에서는 &arch-kernel;이 아닌 파티션도 만들 " #~ "수 있고, 이렇게 만든 파티션도 다른 운영 체제에서 잘 동작합니다. 하지만 드" #~ "물게 이것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확실히 하려면 " #~ "다른 운영 체제가 사용하는 파티션은 그 운영 체제의 자체 파티션 프로그램을 " #~ "사용해 만드십시오." #~ msgid "" #~ "If you are going to install more than one operating system on the same " #~ "machine, you should install all other system(s) before proceeding with " #~ "the &debian; installation. Windows and other OS installations may destroy " #~ "your ability to start &debian;, or encourage you to reformat non-native " #~ "partitions." #~ msgstr "" #~ "같은 컴퓨터에 여러 개의 OS를 설치하려는 경우, &debian;을 설치하기 전에 다" #~ "른 OS를 먼저 설치하고 둡시다. Windows 등의 다른 OS를 설치하면 &debian;을 " #~ "시작하는 기능이 파괴되어 버리거나, 혹은 그 OS의 파티션이 아닌 파티션을 다" #~ "시 포맷하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 msgid "" #~ "You can recover from these actions or avoid them, but installing the " #~ "native system first saves you trouble." #~ msgstr "" #~ "이렇게 되더라도 복구할 수도 있고, 이렇게 되지 않도록 피할 수도 있습니다. " #~ "하지만 원래 운영 체제를 먼저 설치하면 이런 문제가 없습니다." # &debian-gnu; => 데비안 GNU/리눅스, 조사 사용 주의 #~ msgid "" #~ "In order for OpenFirmware to automatically boot &debian-gnu; the &arch-" #~ "parttype; partitions should appear before all other partitions on the " #~ "disk, especially Mac OS X boot partitions. This should be kept in mind " #~ "when pre-partitioning; you should create a &arch-parttype; placeholder " #~ "partition to come before the other bootable " #~ "partitions on the disk. (The small partitions dedicated to Apple disk " #~ "drivers are not bootable.) You can delete the placeholder with the " #~ "&debian; partition tools later during the actual install, and replace it " #~ "with &arch-parttype; partitions." #~ msgstr "" #~ "OpenFirmware에 &debian-gnu;을 자동으로 시작하려면 &arch-parttype; 파티션" #~ "을 다른 OS의 파티션(특히 맥오에스 부팅 파티션)보다 디스크의 위쪽에 둬야 합" #~ "니다. 사전 파티션할 때 다음을 염두에 두고 봅시다. &arch-parttype;용으로 사" #~ "용 위치를 파티션이 들어갈 파티션을 다른 부팅 파티션보다 디스크 " #~ "앞부분에 만들어야합니다(애플 디스크 드라이버 전용 작은 파티션" #~ "은 부팅 가능하지 않습니다). 이 위치에 파티션은 실제로 설치 때 &debian; 파" #~ "티션 도구에서 제거하고 실제 &arch-parttype; 파티션 바꿀 수 있습니다." #~ msgid "Partitioning from SunOS" #~ msgstr "SunOS에서 파티션하기" #~ msgid "" #~ "It's perfectly fine to partition from SunOS; in fact, if you intend to " #~ "run both SunOS and &debian; on the same machine, it is recommended that " #~ "you partition using SunOS prior to installing &debian;. The Linux kernel " #~ "understands Sun disk labels, so there are no problems there. SILO " #~ "supports booting Linux and SunOS from any of EXT2 (Linux), UFS (SunOS), " #~ "romfs or iso9660 (CDROM) partitions." #~ msgstr "" #~ "SunOS에서 파티션하는 건 문제가 없습니다. 동일한 컴퓨터에 SunOS와 &debian;" #~ "을 운용하는 경우 &debian;을 설치하기 전에 SunOS에서 파티션을 만들어 두는 " #~ "것이 좋습니다. Linux 커널은 Sun 디스크 레이블을 인식하기 때문에 이 방법으" #~ "로 문제 없습니다. SILO는 EXT2 (Linux), UFS (SunOS), romfs 및 iso9660 " #~ "(CDROM) 중 하나의 파티션에서 Linux와 SunOS 부팅을 지원합니다." #~ msgid "Partitioning from Linux or another OS" #~ msgstr "리눅스 및 그 밖의 OS에서 파티션하기" #~ msgid "" #~ "Whatever system you are using to partition, make sure you create a " #~ "Sun disk label on your boot disk. This is the only kind of " #~ "partition scheme that the OpenBoot PROM understands, and so it's the only " #~ "scheme from which you can boot. In fdisk, the " #~ "s key is used to create Sun disk labels. You only need " #~ "to do this on drives that do not already have a Sun disk label. If you " #~ "are using a drive that was previously formatted using a PC (or other " #~ "architecture) you must create a new disk label, or problems with the disk " #~ "geometry will most likely occur." #~ msgstr "" #~ "파티션할 때 어떤 시스템을 사용하든 간에, 부팅 디스크에 Sun 디스크 " #~ "레이블을 만들도록 하십시오. OpenBoot PROM이 이해하는 유일한 파티" #~ "션 방식이고, 그래서 부팅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입니다. fdisk에서, s 키를 누르면 Sun 디스크 레이블을 만들 수 " #~ "있습니다. Sun 디스크 레이블이 없는 드라이브의 경우에만 레이블을 새로 만들" #~ "어야 합니다. PC에서(아니면 다른 아키텍처에서) 포맷한 드라이브가 있다면 새" #~ "로운 디스크 레이블을 만들어야 하고, 아니면 디스크 크기에 관련한 오류가 발" #~ "생할 수도 있습니다." #~ msgid "" #~ "You will probably be using SILO as your boot loader " #~ "(the small program which runs the operating system kernel). " #~ "SILO has certain requirements for partition sizes and " #~ "location; see ." #~ msgstr "" #~ "부트로더(운영 체제 커널을 실행하는 작은 프로그램)로 SILO를 사용합니다. SILO를 쓰려면 파티션 크기와 위치" #~ "에 대해 엄격한 제한이 있습니다. 부분을 참" #~ "고하십시오." #~ msgid "Mac OS X Partitioning" #~ msgstr "맥오에스 X 파티션하기" #~ msgid "" #~ "The Disk Utility application can be found " #~ "under the Utilities menu in Mac OS X Installer. It " #~ "will not adjust existing partitions; it is limited to partitioning the " #~ "entire disk at once." #~ msgstr "" #~ "맥오에스 설치의 Utilities 메뉴 아래에 " #~ "Disk Utility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 #~ "은 기존 파티션을 조정하지 않고, 전체 디스크를 한 번에 파티션하는 데만 쓸 " #~ "수 있습니다." #~ msgid "" #~ "Remember to create a placeholder partition for GNU/Linux, preferably " #~ "positioned first in the disk layout. it doesn't matter what type it is, " #~ "it will be deleted and replaced later inside the &debian-gnu; installer." #~ msgstr "" #~ "GNU/리눅스가 들어갈 위치에 공간을 차지하는 파티션을 만들도록 하십시오. 가" #~ "능하면 디스크에서 첫번째에 놓으십시오. 파티션 종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 #~ "&debian-gnu; 설치 프로그램에서 나중에 그 파티션을 지워서 다른 파티션으로 " #~ "바꾸게 됩니다." #~ msgid "" #~ "&debian; installer partition table editing tools are compatible with OS " #~ "X, but not with MacOS 9. If you are planning to use both MacOS 9 and OS " #~ "X, it is best to install OS X and &debian; on one hard drive, and put " #~ "MacOS 9 on a separate hard drive. Separate options for OS 9 and OS X will " #~ "appear when holding the option key at boot time, and " #~ "separate options can be installed in the yaboot boot menu as well." #~ msgstr "" #~ "&debian; 설치 프로그램의 파티션 테이블 편집 도구는 OS X과 호환되지만, 맥오" #~ "에스 9과는 호환되지 않습니다. 맥오에스 9과 OS X을 모두 사용하려면 OS X과 " #~ "&debian;을 한 하드디스크에 설치하고 맥오에스 9을 별도 하드디스크에 설치하" #~ "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부팅할 때 option 키를 눌렀을 " #~ "때 OS 9과 OS X에 대해 다른 옵션이 나타나고, yaboot 부팅 메뉴에도 다른 옵션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 msgid "" #~ "GNU/Linux is unable to access information on UFS partitions, but can " #~ "access HFS+ (aka MacOS Extended) partitions. OS X requires one of these " #~ "two types for its boot partition. MacOS 9 can be installed on either HFS " #~ "(aka MacOS Standard) or HFS+.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the Mac OS X " #~ "and GNU/Linux systems, an exchange partition is handy. HFS, HFS+ and MS-" #~ "DOS FAT file systems are supported by MacOS 9, Mac OS X and GNU/Linux." #~ msgstr "" #~ "GNU/리눅스는 UFS 파티션에 있는 정보에 접근할 수 없지만 HFS+(다른 말로 " #~ "MacOS Extended) 파티션에는 접근할 수 있습니다. OS X은 부팅 파티션에 이 두" #~ "가지 중의 하나의 파일 시스템을 써야 합니다. 맥오에스 9은 HFS에(다른 말로 " #~ "MacOS Standard) 설치할 수도 있고 HFS+에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맥오에스와 " #~ "GNU/리눅스 시스템 사이에 정보를 공유하려면, 데이터 교환용 파티션을 만드는 " #~ "게 편리합니다. HFS, HFS+와 MS-DOS FAT 파티션은 맥오에스와 리눅스 모두에서 " #~ "지원합니다." #~ msgid "Invoking OpenFirmware" #~ msgstr "OpenFirmware 실행" #~ msgid "" #~ "There is normally no need to set up the BIOS (called OpenFirmware) on " #~ "&arch-title; systems. PReP and CHRP are equipped with OpenFirmware, but " #~ "unfortunately, the means you use to invoke it vary from manufacturer to " #~ "manufacturer. You'll have to consult the hardware documentation which " #~ "came with your machine." #~ msgstr "" #~ "&arch-title; 시스템에서는 BIOS(OpenFirmware)를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 "PReP 및 CHRP는 OpenFirmware가 들어 있지만, 아쉽게도 그 때문에 각 제조사마" #~ "다 OpenFirmware 실행 방법이 다릅니다. 컴퓨터에 들어 있는 하드웨어 문서를 " #~ "참고하셔야 합니다." #~ msgid "" #~ "On &arch-title; Macintoshes, you invoke OpenFirmware with " #~ "Command (cloverleaf/Apple)Optionof while booting. " #~ "Generally it will check for these keystrokes after the chime, but the " #~ "exact timing varies from model to model. See for more hints." #~ msgstr "" #~ "&arch-title; 매킨토시에서는, 부팅할 때 Command(클로버잎/" #~ "사과 모양)Optionof 키를 눌러 OpenFirmware를 시작합니다. 보통 삐 소리가 난 " #~ "다음에 이 키가 눌렸는지 검사하지만, 정확한 타이밍은 여러 모델마다 다릅니" #~ "다. 더 많은 힌트는 의 내용" #~ "을 참고하십시오." #~ msgid "" #~ "The OpenFirmware prompt looks like this: \n" #~ "ok\n" #~ "0 >\n" #~ " Note that on older model &arch-title; Macs, " #~ "the default and sometimes hardwired I/O for OpenFirmware user interaction " #~ "is through the serial (modem) port. If you invoke OpenFirmware on one of " #~ "these machines, you will just see a black screen. In that case, a " #~ "terminal program running on another computer, connected to the modem " #~ "port, is needed to interact with OpenFirmware." #~ msgstr "" #~ "OpenFirmware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n" #~ "ok\n" #~ "0 >\n" #~ " 오래된 모델의 &arch-title; 맥에서는, " #~ "OpenFirmware의 사용자 입출력은 기본값이(혹은 고정된 값이) 시리얼(모뎀) 포" #~ "트입니다. 이러한 컴퓨터에서 OpenFirmware를 실행한 경우, 검은 화면만 보게 " #~ "될 것입니다. 이 경우 다른 컴퓨터에서 터미널 프로그램을 실행해 모뎀 포트에 " #~ "연결해야 OpenFirmware를 쓸 수 있습니다." #~ msgid "" #~ "The OpenFirmware on OldWorld Beige G3 machines, OF versions 2.0f1 and " #~ "2.4, is broken. These machines will most likely not be able to boot from " #~ "the hard drive unless the firmware is patched. A firmware patch is " #~ "included in the System Disk 2.3.1 utility, " #~ "available from Apple at . After " #~ "unpacking the utility in MacOS, and launching it, select the " #~ "Save button to have the firmware patches installed " #~ "to nvram." #~ msgstr "" #~ "올드월드 Beige G3 컴퓨터의 OpenFirmware, OF 2.0f1 및 2.4 버전은 심각한 문" #~ "제가 있습니다. 이 컴퓨터에서는 펌웨어를 패치해야 하드 드라이브에서 부팅할 " #~ "수 있습니다. 펌웨어 패치는 System Disk 2.3.1 유" #~ "틸리티에 들어 있고, 애플의 에서 구할 수 있습" #~ "니다. 맥오에스에서 이 유틸리티의 압축을 풀고, 실행한 다음, " #~ "Save 단추를 눌러 펌웨어 패치를 nvram에 설치하십시" #~ "오." #~ msgid "Invoking OpenBoot" #~ msgstr "OpenBoot 실행" #~ msgid "" #~ "OpenBoot provides the basic functions needed to boot the &arch-title; " #~ "architecture. This is rather similar in function to the BIOS in the x86 " #~ "architecture, although much nicer. The Sun boot PROMs have a built-in " #~ "forth interpreter which lets you do quite a number of things with your " #~ "machine, such as diagnostics and simple scripts." #~ msgstr "" #~ "OpenBoot에는 &arch-title; 아키텍처 부팅에 필요한 기능이 들어 있습니다. 이 " #~ "기능은 x86 아키텍처의 BIOS와 비슷하지만, 훨씬 더 훌륭합니다. Sun boot PROM" #~ "에는 forth 인터프리터가 들어 있어서, 진단 기능이나 간단한 스크립트와 같은 " #~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습니다." #~ msgid "" #~ "To get to the boot prompt you need to hold down the Stop " #~ "key (on older type 4 keyboards, use the L1 key, if you " #~ "have a PC keyboard adapter, use the Break key) and press " #~ "the A key. The boot PROM will give you a prompt, either " #~ "ok or >. It is preferred " #~ "to have the ok prompt. So if you get the old style " #~ "prompt, hit the n key to get the new style prompt." #~ msgstr "" #~ "부팅 프롬프트로 들어가려면 Stop 키를 누르고 있다가(옛날 " #~ "type 4 키보드에서는 L1 키를 사용하고, PC 키보드 어댑터를 " #~ "쓰면 Break 키 사용), A 키를 누릅니다. " #~ "boot PROM에서 ok 혹은 >라" #~ "는 프롬프트가 나옵니다. ok 프롬프트가 좋습니다. 옛" #~ "날 방식의 프롬프트가 나타난다면, n키를 누르면 새로운 방식" #~ "의 프롬프트가 나옵니다." #~ msgid "" #~ "If you are using a serial console, send a break to the machine. With " #~ "Minicom, use Ctrl-A F, with cu, hit Enter, then type %~break. Consult the " #~ "documentation of your terminal emulator if you are using a different " #~ "program." #~ msgstr "" #~ "시리얼 콘솔을 사용한다면, break 신호를 보내십시오. minicom에서는 " #~ "Ctrl-A F을 누르고, cu에서는 Enter 다음" #~ "에 %~break을 입력합니다.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 "면 그 터미널 에뮬레이터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msgid "" #~ "You can use OpenBoot to boot from specific devices, and also to change " #~ "your default boot device. However, you need to know some details about " #~ "how OpenBoot names devices; it'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Linux device " #~ "naming, described in . Also, the command " #~ "will vary a bit, depending on what version of OpenBoot you have. More " #~ "information about OpenBoot can be found in the Sun OpenBoot Reference." #~ msgstr "" #~ "OpenBoot를 사용해 특정 장치에서 부팅할 수 있고, 기본 부팅 장치를 바꿀 수" #~ "도 있습니다. 하지만 OpenBoot의 장치 명명법에 대해 좀 자세히 알아야 합니" #~ "다. 리눅스 장치 명명법과는 많이 다른데 에 " #~ "보면 설명되어 있습니다. 또, 명령어도 어떤 OpenBoot 버전을 쓰느냐에 따라 많" #~ "이 다릅니다. OpenBoot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Sun OpenBoot Reference에서 볼 수 있습니다." #~ msgid "" #~ "To boot from a specific device, use the command boot " #~ "device. You can set this behavior " #~ "as the default using the setenv command. However, " #~ "the name of the variable to set changed between OpenBoot revisions. In " #~ "OpenBoot 1.x, use the command setenv boot-from " #~ "device. In later revisions of " #~ "OpenBoot, use the command setenv boot-device " #~ "device. Note, this is also " #~ "configurable using the eeprom command on Solaris, or " #~ "modifying the appropriate files in /proc/openprom/options/, for example under Linux: \n" #~ "# echo disk1:1 > /proc/openprom/options/boot-device\n" #~ " and under Solaris:" #~ msgstr "" #~ "특정 장치에서 부팅하려면, boot 장치 명령을 사용합니다. setenv " #~ "명령을 사용하면 이걸 기본값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변수의 이름은 " #~ "OpenBoot 버전마다 다릅니다. OpenBoot 1.x에서는 setenv boot-" #~ "from 장치 명령을 사용하십시오. 그 " #~ "후의 OpenBoot 버전에서는, setenv boot-device 장치" #~ " 명령을 사용하십시오. Solaris에서 " #~ "eeprom 명령을 이용하거나, /proc/openprom/" #~ "options/의 파일을 고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눅스에" #~ "서는: \n" #~ "# echo disk1:1 > /proc/openprom/options/boot-device\n" #~ " 그리고 Solaris에서는:" #~ msgid "eeprom boot-device=disk1:1" #~ msgstr "eeprom boot-device=disk1:1" #~ msgid "Display-visibility on OldWorld Powermacs" #~ msgstr "올드월드 파워맥에서 화면이 안 보이는 문제" #~ msgid "" #~ "Some OldWorld Powermacs, most notably those with the control display driver, may not reliably produce a colormap under Linux " #~ "when the display is configured for more than 256 colors. If you are " #~ "experiencing such issues with your display after rebooting (you can " #~ "sometimes see data on the monitor, but on other occasions cannot see " #~ "anything) or, if the screen turns black after booting the installer " #~ "instead of showing you the user interface, try changing your display " #~ "settings under MacOS to use 256 colors instead of thousands or millions." #~ msgstr "" #~ "일부 올드월드 파워맥의 경우, 특히 control 디스플레이 드라이" #~ "버를 사용하는 기종은 디스플레이를 256색보다 더 높게 맞추면 리눅스에서 제대" #~ "로 컬러맵을 만들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다시 부팅한 후에 그러한 현상이 나타" #~ "나거나(가끔 모니터에서 데이터를 볼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아무것도 못 " #~ "볼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나오기 전에 화면이 검은색으" #~ "로 변하는 경우, 맥오에스에서 디스플레이 설정을 thousands나 " #~ "millions 대신에 256색으로 맞추십시오."